-
2차원 자성반도체 페록시하이트 물성 규명
2차원 페록시하이트가 생성되기 위한 2가지 모체구조에 대한 포논계산으로 (a)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면 불안정함 반면, (b)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안정하게 된다는 계산결과다. (c)는 위 2가지 구조를 위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은 부경대학교 홍지상 교...
허령 기자2017-12-26 09:20:08
-
거미줄 모방한 리튬이온전지 전극 소재 개발
거미줄 모방 전극 모식도와 탄소나노튜브/금속산화물 복합체 웹 전극 소재의 합성 모식도(그림. 한국연구재단) (a) 자연계 거미줄 구조 및 기능을 모방한 전극 디자인 모식도. (b) 오존 처리, 얼음 주형법, 동결 건조, 열처리를 통한 거미줄 모방 3차원 탄소나노튜브/금속산...
허령 기자2017-12-24 09:15:39
-
리튬전지 대체할 나트륨이온 전지 양극 소재 개발
β-FeOOH/CNT 복합체에 대한 반복적인 전환반응의 개략도(그림. 한국연구재단) 이번 연구를 통해서 FeOOH Na e- → FeO NaOH의 반응과정을 규명했으며, 이전에 보고된 금속 NaxO 까지 나오는 일반적인 전환반응이 아닌 FeO NaOH가 ...
허령 기자2017-12-24 09:07:28
-
전통 한지를 이용한 슈퍼커패시터 소자 개발
전극 제작 방법에 따른 입자 간 거리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극 제작 시, 입자 간 거리는 최종 전극의 전기적/전기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블렌딩과 같은 단순 혼합법(왼쪽 그림)에 의한 전극제작법이나 물에서의 정전기 인력기반 층상자기조립법(가운데 그림)의 경우 입...
허령 기자2017-11-27 13:30:41
-
발전/발광이 모두 가능한 발광 전지 최초 개발
페롭트로닉 소자(Peroptronic Device)의 발전, 발광 구동원리 페롭트로닉 소자(Peroptronic Device)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사용해 단일 구조에서 복합적 기능이 가능한 광전자 소자이다. 광활성 층(MAPbBr3)에서 전하 캐리어의 생성 및 재결합이...
허령 기자2017-11-26 17:24:42
-
종이 기반 휘어지고 늘어나는 알루미늄 전지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심우영 교수, 연세대 문주호 교수 연구팀이 종이를 기반으로 폭발 위험성이 없고 신축성이 뛰어난 알루미늄-공기 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유연성이 필요한 IT전자기기들이 늘어남에 따라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
허령 기자2017-10-19 17:16:25
-
유리 섬유로 친환경 저비용 리튬-황 전지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 김도경 교수 연구팀이 친환경·저비용 소재인 유리 섬유막을 리튬-황 전지에 최초로 적용해 고효율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리튬-황 전지는 휴대기기에 쓰이는 기존의 리튬이온 전지보다 용량과 에너지 밀도가 우수해 차세대 대용량 에...
허령 기자2017-10-19 17:11:48
-
전기를 스스로 생산하는 실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한양대학교가 김선정 교수 연구팀이 수축·이완하거나 회전할 때 전기 에너지를 저절로 생산하는 최첨단 실(Yar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꼬아서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탄소나노튜브 인공근육)을 제...
허령 기자2017-09-25 09:11:54
-
환원된 산화그래핀, 둥글게 말아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
소형 전자기기에 더욱 적합한 에너지 저장 장치가 개발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장재형 소장 연구팀이 기존의 그래핀 전극보다 에너지 저장밀도가 2~3배 높고, 리튬이온전지 대비 전력밀도가 15배 우수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
허령 기자2017-09-25 09:08:52
-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로 전지의 화학반응 예측
리튬이온전지는 밀도가 높아 가벼운 고용량 전지를 만드는 데 유리해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등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리튬이온전지는 충·방전을 거듭할수록 전극 표면에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극-전해질 계면막(SEI, Solid-Elect...
허령 기자2017-09-25 09:04:39
-
CFRTP(열가소성 탄소섬유복합재료) 소재기술 개발 동향
자동차 경량화는 전 세계적인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차량 경량화는 적용 기간이 짧고 다양한 경량화 방법을 통해 연비 개선에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연비 규제 강화의 대응책으로 선택이 아닌 필수적 요소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차량 경량화 방법은 여...
문정희 기자2017-08-29 19:15:13
-
스카라 로봇 응용 사례
스카라 로봇은 픽 앤 플레이스에 최적화된 기구구조와 속도, 그리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많은 로봇제조사들이 스카라 로봇을 제조하고 있으며, 도시바 기계(TOSHIBA MACHINE) 역시 그중 하나이다. 본지에서는 도시바 기계 로...
이성운 기자2017-08-28 11:40:10
-
배터리 속 생중계로 더 좋은 이차전지 만든다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현욱 교수는 배터리 분야 중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In Situ TEM, 이하 TEM)’ 전문가이다. 전 세계에서 10명도 안 되는 ‘인 시츄 템 가이(In Situ TEM Guy)’로 꼽힌다...
허령 기자2017-08-14 18:10:03
-
OLED 제조 시간 1/10로 줄인다
신속하게 OLED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은 윤홍석 교수 연구팀(한밭대)이 고압의 에어젯 분사를 통해 여러 층의 OLED 박막을 원하는 곳으로 효과적으로 한 번에 옮길 수 있는 고속전사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OLED 전사는 여러 층의 박...
허령 기자2017-08-14 18:06:30
-
분자 도르래로 고용량 이차전지 수명 늘렸다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은 최장욱 교수·코스쿤 알리 교수 연구팀(한국과학기술원)이 작년 노벨화학상 연구내용인 분자 도르래 구조를 실리콘 전극에 최초로 적용해 이차전지 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밝혔다. 움직도르래와 분자 도르래 바인더의 구조 (위)거시세계의...
허령 기자2017-08-14 17:5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