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떠오르는 로봇산업 현황 및 시사점
산업연구원이 최근 국내외 로봇산업에 대한 동향 보고서를 소개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정책기획실 전진우 실장이 집필한 ‘떠오르는 로봇산업 현황 및 시사점’에는 로봇산업에 대한 국내 및 세계 동향과 더불어 주요 기업들의 움직임, 다가오는 로봇 시대를 대비...
김지연 기자2018-07-30 11:02:28
-
로봇메이커가 말하는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비전 시스템 구축하는 법!” (上)
비전은 더욱 다양한 로봇 자동화를 실현시켜주며 로봇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비전 구매 및 비전 프로그램 구축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사용자들에게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이에 로봇메이커들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외부 비전을 연동하기 위한 ‘배려&rsqu...
정창희 기자2018-06-10 13:48:58
-
유연하고 투명한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스터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트랜지스터에 유연함과 투명함뿐만 아니라 친환경적 특성까지 더해졌다. 주병권 교수 및 박준수 박사과정 연구원(고려대학교), 서정훈 교수(뉴욕주립대학교), 전영민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공동연구팀이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생분해성 유기 광트랜지...
문정희 기자2018-06-09 18:27:14
-
양자점의 발광세기를 극대화한 광소재 개발 성공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나노입자의 발광세기와 안정성을 극대화한 광소재를 개발했다. 우경자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팀이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양자점(Quantum Dot)과 실리카입자를 하이브리드함으로써, 최고의 발광세기와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은 밝혔다. 양자...
문정희 기자2018-06-08 11:23:58
-
세계 최고 수준의 태양광-수소 생산용 전극 소재기술 개발
한-미 공동 연구진이 태양광으로 수소에너지를 생산하는 전극 소재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렸다. 조인선 교수(아주대학교), 샤올린 쳉 교수(Xiolin-Zheng, 스탠포드대학교), 한현수 연구원(스탠포드대학교)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태양광-수소 전환 효율을 갖는 전...
문정희 기자2018-06-07 09:20:30
-
수천 번 구부려도 견뎌내는 고전도성 젤 전해질 개발
기계적 내구성과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구현해낸 젤 전해질이 개발되어 차세대 유연 전기화학 소자의 핵심 소재로 기대된다. 문홍철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연구팀이 랜덤공중합체를 기반으로 고성능 고체 젤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은 밝혔다.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액체전해질은 플...
문정희 기자2018-05-10 16:47:10
-
전도도·열 내구성 우수한 실크 기반 전자섬유 개발 성공
국내 연구진이 우수한 전자섬유를 더욱 간단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인천대학교 김병훈 교수(교신저자), 전준우 박사과정생(제1저자)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크를 이용해 전기 전도도와 열 내구성이 높은 전자섬유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은 밝혔다. 휴대하기 ...
문정희 기자2018-05-09 16:43:50
-
빠르게 색 변화하는 유해물질 검지 센서 개발
일상 속에서 누구나 색 변화를 통해 유해물질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박정열 교수(서강대학교), 김태성 교수(울산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이 고속 응답하는 색변화 기반 무전원 휘발성 유기화합물 검지 센서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은 밝혔다. 토양, 담...
문정희 기자2018-05-03 16:40:14
-
MX 스크류, 마스터배치의 믹싱 성능을 최적화하다!
* 자료 : LS엠트론(주) 사출시스템사업부 www.lsinjection.co.kr 1. 머리말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관련 설비나 기술도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제품의 외관, 색상, 디자인에 대한 고객의 눈높이는 점...
문정희 기자2018-04-10 09:25:36
-
무전원 초정밀 인공피부센서 개발 성공
한창수 교수(고려대학교) 연구팀이 인체의 감각기관을 원형에 가깝게 모사해 전원 없이 작동하는 초정밀 인공피부센서(Artificial Skin Sensor)를 개발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밝혔다. 인공피부센서는 외부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전달되는...
문정희 기자2018-04-07 13:44:18
-
무결점 대 면적 그래핀 합성 기술 주목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을 가공할 때 필수적이던 전사공정을 생략하며 새로운 고품질 대면적 그래핀 합성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윤순길 교수(충남대학교) 연구팀이 타이타늄을 이용해 저온에서의 신개념 그래핀 합성 기술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꿈의 나노 물질로 불리는 그래핀은...
문정희 기자2018-04-06 13:41:12
-
고감도 휘어지는 투명 터치센서 개발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고감도 3D터치 키보드에 투명함과 유연함이 더해졌다. 심우영 교수(연세대학교) 연구팀이 나노입자를 활용해 고감도 투명 플렉시블 압력센서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밝혔다. 유리처럼 투명하고 종이처럼 휘어지는 웨어러블 ...
문정희 기자2018-04-03 13:37:15
-
[Yeogie인터뷰] (주)에스비비테크, 2018년 감속기 사업 도약 원년 삼아
(주)에스비비테크 이부락 대표이사 Q. (주)에스비비테크(이하 SBB테크)에 대한 소개. A. 1993년 설립된 당사는 직접 개발한 세라믹 소재를 사용해 세라믹 베어링, 하이브리드 베어링 등 다양한 베어링 제작을 시작으로 국내 부품업계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2009년...
정대상 기자2018-04-01 15:47:18
-
초저가 박막태양전지 공정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범용 원소를 기반으로 저렴한 박막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허재영 교수(전남대학교) 연구팀이 저비용 주석 황화물을 기반으로 태양광 흡수층 형상 제어 기술을 개발해 장시간 안정적인 박막태양전지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태양전지는 햇빛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
문정희 기자2018-03-09 15:16:57
-
메탄올 연료전지 핵심부품, 드론의 장시간 비행에 활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메탄올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을 개발해 전지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조용훈 교수(강원대학교)가 성영은 교수·최만수 교수(서울대학교)와 함께 고성능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는 액체 메탄올의...
문정희 기자2018-03-07 15: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