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일본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산업, 그 현주소는? 사출성형기 트렌드, 환경친화적이며 에너지 절약 가능해야 할 것 이명규 기자입력2015-01-30 09:40:49

 

기획특집

 

일본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산업, 그 현주소는?

사출성형기 트렌드, 환경친화적이며 에너지 절약 가능해야 할 것!

 

최근 대형할인점 등에서 판매되는 플라스틱 제품을 보면 대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Made in China가 휩쓸고 있으며, Made in Korea를 찾기가 쉽지 않을 정도이다.

1980년대에 일본이 사출성형 분야에서 선두에 선 적이 있고, 이어서 1990중반부터 200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가 이 분야에서 일본을 능가하다시피 하게 되었는데, 이제는 중국이나 기타 국가에 밀리는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일본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등 부분품 시장 동향과 전망에 대해 재조명해봤다.

 

* 자료. KOTRA 글로벌윈도우

 

1. 시장현황

(1) 시장규모

일본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생산량은 2013년을 기준으로 1,2948,600만 엔으로 전년대비 -3.24%의 성장률을 보였다.

 

. 일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시장규모(생산량) 및 성장률(단위: 백만 엔, %)

구분

2011

2012

2013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및 성장률

125,212

8.74

133,827

6.88

129.486

-3.24

출처. 경제산업성

 

한편,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주요 소비자 계층: 플라스틱 생산분야 종사자

- 소비자 구매 동기: 보다 저렴하게 고품질 플라스틱 제품 생산

 

(2) 시장전망

수요증대 예상요인

최근 세계적인 트렌드는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 에너지 절약으로, 자동차 분야에서는 연비 향상과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차체 경량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에 따라 무거운 금속부품을 대신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부분품의 수요가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절전에 효과적인 LED 조명 제조에 필요한 플라스틱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림1>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출하량 추이 

그림1.jpg

출처. 일본산업기기공업회

 

수요 감소 예상요인

플라스틱 용품은 주로 일상재로 구분되는데, 계속되는 인구 감소로 인해 장기적으로 생활용품 수요가 줄어 생활용품용 플라스틱 사출성형기기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출하량 추이를 확인한 결과, 2009년을 기점으로 국내 수요는 크게 줄었고, 일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시장 역시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러 앞으로도 큰 수요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산업기기공업회는 현재 일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시장 내 극심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고, 리먼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로 충분한 설비투자가 이뤄지지 않아 소비자가 새로운 사출성형기 구입을 망설이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무역관 전망

일본 사출성형기 제품은 높은 성능을 가졌지만 가격이 고가라는 평판이 있어, 저렴한 중국 제품에 비해 밀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외공장 신설, 현지 메이커와의 연계를 통한 비용절감을 이뤄내 경쟁력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본 국내 생산 사출성형기는 12,000, 일본계 회사의 해외 생산은 3,000대로, 일본 국내 생산은 정체됨에 비해 해외생산량은 앞으로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아베노믹스 이후에 지속되는 엔저현상도 해외생산 증가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 세계적인 트렌드에 따라 환경친화적 에너지 절약형 제품 선호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유압 구동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약효과가 뛰어난 전동식 사출성형기가 인기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같은 맥락에서 반자동성형 방식보다 에너지 절약에 더 효과적인 전자동화 방식이 선호될 것으로 보인다.

 

(3) 수입동향

일본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수입은 2013년을 기준으로 미화 28,420만 달러로 전년대비 -1.26% 성장했다. 시장의 포화 상태로 볼 때, 마이너스 성장이 계속되거나 침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중국의 수입량 점유율이 50%가 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가격경쟁력이 가장 큰 원인으로, 중국 제품은 일본 제품에 비해 20~50% 정도 저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중국 산업기기 대기업인 HAITIAN(海天)은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품질이 좋은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해, 정밀부품이 강점인 일본 기업과의 경쟁을 피하면서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최근 3년간 수입 규모는 중국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한국, 대만 등이 이었다.

 

. 플라스틱사출성형기 등 부분품 주요 수입국 현황(단위: US$ 백만, %)

순위

국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1

중국

110.71

146.42

145.42

46.71

50.87

51.17

-0.68

2

대한민국

33.88

37.38

24.87

14.3

12.99

8.7

-33.46

3

대만

18.67

24.66

21.25

7.88

8.57

7.48

-13.84

4

미국

13.76

18.66

18.26

5.81

6.48

6.42

-2.15

5

독일

23.29

22.43

17.32

9.83

7.79

6.1

-22.79

6

이탈리아

2.21

2.26

16.88

0.93

0.79

5.94

645.7

7

태국

7.64

6.26

8.34

3.22

2.17

2.94

33.35

8

캐나다

4.23

4.47

5.17

1.79

1.55

1.82

15.76

9

스위스

2.13

2.35

4.47

0.9

0.82

1.57

90.32

10

말레이시아

3.59

1.47

3.29

1.51

0.51

1.16

123.93

총계

237.00

287.84

284.20

100

100

100

-1.26

출처. WTA(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1) 수입 규제 제도

- 규제내용(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 특이사항 없음.

- 필수인증: ISO9001 국제인증이 필요하며, 일본 공업규격인 JISB6701로 형상, 치수, 표기방법이 정해져 있음.

 

(2) 관세율

- 관세율: 무관세

- 통관 시 유의사항: 특이사항 없음.

 

(3) 주요 유통채널

해외 생산이 국내 생산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생산설비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해외 생산한 것을 전문상사 등을 통해 수입하며, 중고품 취급도 전문상사를 통하는 경우가 많다.

3. 경쟁동향

(1) 경쟁제품

일본 사출성형기와 관련해 일본 내 경쟁사는 미쓰비시 중공업, 일본제강소, 도시바 기계, 닛세이 수지공업 등이 있다.

 

. 경쟁제품(단위: 백만 엔)

제조기업명

매출액

원산지(수출국)

미쓰비시중공업

3,420,000

제품별 상이

일본제강소

220,653

제품별 상이

도시바기계

113,062

제품별 상이

닛세이수지공업

31,965

제품별 상이

출처. KOTRA 글로벌윈도우

 

(2)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시장점유율에 있어서 해외 브랜드보다는 일본 메이커가 우세하다.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는 평가가 있지만 가격경쟁력 면에서도 중국 제품에 밀려 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약한 편이다.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1) 전문 전시회 정보

일본 내 관련 전문 전시회는 고성능 플라스틱전이 있다. 도쿄에서 매년 열리는 동 전시회는 2015년에는 48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전시회명(현지어명)

高機能プラスチック(プラスチック ジャパン)

전시회명(한국어)

고성능 플라스틱전(플라스틱 재팬)

전시품목

성형가공기계, 성형기 제품, 고성능플라스틱 제품, 금형 관련 제품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일본/도쿄/매년

규모(참가기업수)

67개사

개최기간(2015)

201548~10

웹사이트

www.plas.jp

 

(2)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단순 플라스틱 성형기의 경우에는 가격을 중시하지만, 초정밀·고성능 제품을 생산할 경우 가격보다 기기의 성능에 중점을 둠.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A/S를 상당히 중시함. 특히, 독일 제품을 비롯한 유럽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높지 않으나 A/S가 완벽하게 이뤄지고 있고, 이로 인해 인지도가 매우 높은 편임.

 

(3)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최근 일본 내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시장의 경쟁심화 등으로 안전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점검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는 기업이 많다. 무료 A/S 제공기간을 늘려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플라스틱의 용도가 점점 확대돼 차세대 자동차 및 태양광 패널용 부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신규 아이템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성형기술과 고기능성 신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내용은 <월간 플라스틱기계산업> 2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