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유리섬유 보강재와 아크릴 레진으로 만들어진 맨홀 배수 덮개 유리섬유 보강재와 아크릴 레진으로 만들어진 맨홀 배수 덮개 정대상 기자입력2015-01-20 09:20:38

영국 제조업체인 구조용 과학 복합재료 회사(Structural Science Composites Ltd)는 손으로 쉽게 들 수 있게 가볍고, 크기가 현재까지의 관련제품 중에서 가장 큰, 혁신적인 맨홀 및 배수 덮개를 개발하였다. 이 회사는 특허를 받은 Thrubeam 디자인을 사용하였으며 유리섬유 보강재와 Scott Bader의 고성능 아크릴 레진을 결합하여 보다 단단한 빔 구조를 제조하였다.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품질인 경량 복합재료 맨홀 덮개는 기존의 훨씬 무겁고 연성을 가진 강철 혹은 콘크리트 덮개와 견줄 수 있는 하중 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비용 효과적이다. 완전한 레진 이송 성형 공정으로 제조되어 강도 대 무게 비율이 우수하고, 덮개 구조물에 필요한 표면의 상세한 마감과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가지며 생산성도 우수하다. 복합재료로 만들어져서 부식이 되지 않고 전기를 통하지 않으며 금속 덮개에서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도난과 관련된 문제도 피할 수 있다.

SSC Thrubeam 복합재료 디자인에 의해 강철 혹은 보강 콘크리트 덮개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3~4배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내구성과 기계적인 특성도 만족할 수 있다. 이는 BS EN124:1994 기준 그룹 4급 D400(BS EN124:1994 Standards Group 4 Class D400)에 부합되는 매우 우수한 하중 강도도 가진다. 이 기준은 차도, 갓길, 공장부지 및 산업용지와 같은 지역에 장착되어 자동차, 밴, 운반차, HGV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덮개이다. BS EN124 급 D400 기준을 통과하는 것은 40톤의 시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과 같다. 모든 SSC 복합재료 맨홀 덮개들은 퍼니스(Furness) 내의 배로우(Barrow)에 있는 영국 공장에서 제조된다. 완전한 레진 이송 장비 밀봉 성형 공정 및 공구 세공은 1년에 100~10,000단위를 생산할 수 있게 정비되어 있다. 다양한 기준과 맞춤 생산 타입 및 크기에 따라 제조공정이 유연하게 조절되어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것이 주요한 성공 요인이다.

SSC에 의하면 강철이나 콘크리트 덮개보다 가볍게 만드는 이외에도 독특한 Thrubeam 기술을 “수요자 급” Crestapol에 적용하여 현재 구할 수 있는 복합재료 덮개보다도 20% 이상 더 가볍게 만들 수 있다. 이들은 독립적인 시험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얻는다. Crestapol 레진의 우수한 기계적인 특성들과 정교하고 조절할 수 있는 레진 이송 장비 주입공정으로 보다 얇고 보다 가벼운 고성능 맨홀 덮개를 얻게 된다. Crestapol 유리 섬유 적층물은 사용 중인 성능의 손실 없이 모든 SSC 덮개 내에 보다 강한 빔을 보합하는데 필요하다. SSC 생산팀은 향상된 품질 보장 및 생산 목표에 의해 혜택을 받고 있다. 주입이 용이함과 동시에 덮개는 Crestapol 레진의 상온에서 빠르게 경화되는 특성에 의해 한 시간 이내에 탈형할 수 있다. 

내구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성능이 유지되는 SSC 복합재료 덮개는 아주 가볍기 때문에 설치하는 것이 쉽고 동시에 개폐가 가능하여 영국 전국 및 세계에서 주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SSC 고객들은 유럽, 아시아, 북미 전역의 회사, 건축업자, 도급업자, 지방 당국, 인프라구조 개발자 등 다양하다. SSC Thrubeam 접근 덮개들은 현재 도시와 타운뿐만 아니라 주유소, 고속도로, 공장 및 산업체 지역들에 사용되고 있다. 필요하면 SSC 부가적인 제품 형상을 덮개에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보안 잠금 시스템, 환기, 물이 새지 않게 밀봉하는 것, 색상 적용, 전도성 등이다. 최근에 영국 북서부 지역에 있는 주요 유틸리티 회사 중의 하나에서 거주지 근처에 있는 지하 펌핑 장의 소음이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원래 사용하던 덮개를 디자인의 한 부분으로서 물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독특한 밀봉 부분이 포함된 SSC의 DM6 맨홀 덮개로 교체하여 이 문제를 즉시 해결할 수 있었다.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