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로봇의 다양성에 기술의 깊이를 더한 전시 제15회 대구국제기계산업대전 문정희 기자입력2014-12-03 15:07:44

로봇의 메카 대구에서 펼쳐진 ‘대구국제기계산업대전’이 19개국 342개사 854부스 규모로 11월 19일부터 22일까지 엑스코(EXCO)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됐다. 동시에 마련된 대구국제로봇산업전에서는 제조용 로봇 및 서비스 로봇기업들이 저마다의 특징을 내세운 로봇제품들을 홍보하며 로봇 축제의 풍성함을 더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신제품들이 대거 출품되며 2015년의 뜨거운 로봇산업 경쟁을 예고하기도 했다. 볼거리가 가득했던 영남권 로봇 분야 대표 전문전시회를 본지가 다녀왔다.

취재 문정희 기자(press3@engnews.co.kr)


메인2.JPG


메인1.JPG


올해 15회째를 맞는 대구국제기계산업대전(DAMEX 2014)에서는 제9회 국제부품소재산업전(Parts Show 2014), 제3회 대구국제로봇산업전(ROBEX 2014)이 동시 개최되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청사 건립, 로봇클러스터 조성사업 등으로 로봇산업 육성에 탄력을 받고 있는 대구에서 개최된 이번 전시회는 국내외 로봇산업의 트렌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 로봇인들의 눈을 즐겁게 했다.


신형 로봇으로 부스 꾸민 한국야스카와전기, 글로벌 메이커다운 위용 자랑


엑스코 3층에 마련된 대구국제로봇산업전은 60여개 업체 200부스로 전시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오랜만에 전시회에 모습을 드러내거나, 신제품 및 색다른 로봇 어플리케이션을 선보인 로봇기업들의 참가 등으로 그 어느 로봇전시회보다 내용면에서 풍성함을 더했다는 평을 얻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한국야스카와전기가 가장 큰 부스 규모로 참가했으며, 올해 초에 공개했던 신형 로봇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아크용접, 스폿용접, 핸들링 등 다양한 로봇 어플리케이션으로 전 세계 대표 로봇 메이커다운 위용을 자랑했다.
동사 부스의 메인 자리에는 스폿용접 로봇인 MOTOMAN-MS165의 자동차 데시보드 판넬 용접 시연으로 참관객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한국야스카와전기 관계자는 “신형 컨트롤러인 DX200의 신 제진제어로 축 속도를 최대 25% 향상시킨 이 로봇은 기존 대비 최대 30%의 사이클 타임 단축을 실현했으며, 가스밸런스와 슬림암을 채택, 로봇 폭을 24.8% 줄이고 베이스를 34.7% 감소시킴으로써 소형슬림화로 인한 고밀도 배치가 가능하다”고 특징을 소개했다. 
EAGL 공법을 이용한 극저 스패터 용접시스템도 한국야스카와전기가 이번 전시회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시스템으로서, 이는 아크용접 로봇인 MOTOMAN-MA1440과 1축 포지셔너 KP500S 및 서보토치를 이용한 극저 스패터 용접기를 사용하여 CO₂용접 시 발생되는 스패터를 서보모터로 와이어 속도와 방향을 제어했으며, 최상의 용접 품질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선보인 Jigless 협조제어 용접시스템은 한국야스카와전기에서 개발한 2축 포지셔너 KP500D와 MOTOMAN-MA1440, MS165를 이용하여 협조제어를 통한 아크용접을 시연한 것으로, 간섭 저감, 사이클 타임 단축, 용접품질 향상 등의 장점으로 아크용접의 최적화될 어플리케이션으로 소개되었다.
특히 MS165에는 에스브이테크가 공급하는 RSP의 스위벨(Swivel)이 장착되어 호스꼬임을 해결하면서 무한 회전이 가능한 기술을 더하며 야스카와 로봇의 움직임을 더욱 돋보이게 했다. 이 외에도 한국야스카와전기는 바이오 메디컬 로봇 시연과 Picking 시스템을 선보이며 새로운 시장의 요구에 따른 동사의 다양한 솔루션을 공개하기도 했다.


야스카와.JPG

Jigless 협조제어 용접시스템은 2축 포지셔너 KP500D와 MOTOMAN-MA1440, MS165를 이용해

협조제어를 통한 아크용접을 시연한 것으로, 특히 MS165에는 RSP의 스위벨이 장착되어 호스꼬임을 해결했다.


타깃 산업에 따른 로봇 어플리케이션 시연으로 참관객들 집중


쎄네스 테크놀로지는 가반중량 5㎏의 6축 수직다관절 로봇인 ‘ROBO 005’를 소개했다. 이 로봇은 고반복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핸들링 및 조립 공정에서 빠른 속도의 작업성을 실현하고 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쎄네스 테크놀로지가 직접 개발하고 있는 서보 메이트 감속기가 탑재됐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로봇은 백래쉬, 회전진동, 관성이 적어 가속 성능이 좋아졌으며 부드러운 움직임과 정확한 위치 정도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쎄네스 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직접 감속기를 제작하기 때문에 로봇 공급에 있어 빠른 납기가 가능하다며 경쟁력이 강화됐음을 강조했다.
오토로봇은 신형 수직다관절 로봇인 ‘SH6’을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했다. 2015년 1월경 양산에 들어갈 이 로봇은 가반중량 6㎏급으로 기존 로봇과 비교해서 작업 동작범위가 넓어지고 속도가 빨라졌다는 특징이 있으며, 주로 용접 및 핸들링용으로 업계에 적용될 예정이다.
유진로봇은 유진엠에스, 파텍시스템과 함께 부스를 꾸며 서비스 로봇과 제조용 로봇을 모두 아우르는 경쟁력을 과시했다.
유진엠에스는 나치후지코시의 소형 다관절 로봇 MZ07의 나사체결 시연을 선보였고, CAD/CAM 컨버터를 이용한 다기능 로봇 플랫폼인 병렬링크로봇으로 3D 프린팅이 가능한 색다른 시연을 연출했다.
자동화 전문기업 KDM은 트랜스퍼 로봇을 소개했다. 이 로봇은 C형 프레스에서부터 대형프레스까지 적용 가능하며 금형 간 소재의 이송 및 반전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처리하는 모습으로 참관객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DAMEX 전시장에서는 삼익THK가 올해 신제품으로 출시된 픽 앤 플레이스(Pick and Place) 로봇 ‘SPR Series’를 전시회에서 처음 선보였다.
볼스크류, LM가이드를 비롯해 웨이퍼 이송로봇 등 다양한 로봇시스템까지 아우르고 있는 삼익THK는 이번 2축의 픽 앤 플레이스 로봇으로 또 한 번 그들의 뛰어난 기술력을 어김없이 보여줬다. 동사가 공개한 SPR Series는 간단한 구조로 빠른 이송은 물론, 쉬운 유지보수가 장점이다.


쎄네스.JPG

쎄네스 테크놀로지의 ROBO 005

오토로봇.JPG

오토로봇의 신형 수직다관절 로봇 SH6

유진.JPG

유진엠에스가 선보인 나치후지코시 MZ07 로봇의 나사체결 시연


KDM.JPG

KDM의 트랜스퍼 로봇

삼익.JPG

삼익THK의 픽 앤 플레이스 로봇 SPR Series

건축물 페인팅 로봇이 ROBEX에 떴다!


서비스 로봇기업들도 풍성한 아이템으로 ROBEX 전시회의 볼거리를 더했다.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 외벽에 실사 도색을 할 수 있는 무인 원격제어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로보프린트는 이번 전시회에서 로봇의 화려한 페인팅 시연으로 이슈 기업이 됐다.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건축물 페인팅 로봇인 ‘아트봇(ARTBOT)’은 실사 이미지를 프린트하듯이 벽면에 찍어낼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으로, 수작업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으며, 잉크 날림 방지 기술로 환경오염도 억제할 수 있다. 로보프린트는 향후 도시경관 개선, 환경보호, 추락 사망사고 예방이라는 가치를 추구하며 주택 디자인 고급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칠 계획임을 전했다.
로보티즈는 이번 전시회에서 다이나믹셀을 이용한 링크 기반 3Finger Hand를 비롯해 다양한 로봇 솔루션을 선보였고,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부천산업진흥재단 등 로봇 연구원 및 관련 기관들도 전시회에 참가해 지금까지 개발해온 로봇기술 및 성과들을 공개했다. 대경로봇기업진흥협회와 대구테크노파크에서는 공동관을 조성하는 등 지역을 대표하는 로봇제품들을 선보였으며, 특히 아진엑스텍은 로봇 언어 컴파일러를 내장한 범용 로봇제어기를 전시해 시장에서의 건재함을 과시했다.
또한 이번 전시회는 로봇 전시뿐만 아니라 국제로봇전문가포럼, 월드크리에이티브로봇콘테스트 등 로봇 관련 부대행사가 개최됐다. 국제로봇전문가포럼은 로봇 산업도시 대구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올해 처음 개최되는 행사로,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석학회원 4명을 포함하여 각 분야의 로봇석학 10명이 참가, 로봇 분야에 대한 현황, 미래의 트렌드를 조명해 보는 시간을 마련해 로봇 축제의 깊이를 더했다.


로보프린트.JPG

건축물 페인팅 로봇인 아트봇(ARTBOT)

로보티즈.JPG

로보티즈의 다이나믹셀을 이용한 링크 기반 3Finger Hand


아진.JPG

아진엑스텍의 로봇 언어 컴파일러를 내장한 범용 로봇제어기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