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다수의 제조업체 등장으로 중국 산업용 로봇 급성장! 이명규 기자입력2014-08-29 17:24:57

 

<로봇기술> Market Trend

 

중국 로봇산업 동향
다수의 제조업체 등장으로 중국 산업용 로봇 급성장!

 

<편집자주>
현재 중국의 산업용 로봇시장은 많은 제조업체의 등장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각 제조사마다 판매 방식은 다르나, 유럽과 미국 기업의 경우 중국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직접 시스템 통합과 판매까지 통합 수행하면서, 단순 판매만을 담당하는 대리상의 비중을 최소화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산업용 로봇의 발전이 가속화 되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총량 자체는 낮은 수준이다. 자동화 및 정보화는 제조업 선진화의 핵심이고, 산업용 로봇의 보급률은 제조업 자동화 수준의 판단 기준이 된다.
그에 따라 현재로서 중국은 미국과 일본, 한국 등 국가와 비교했을 때 로봇 사용도가 낮은 편으로 앞으로의 발전 여지가 큰 것으로 예상된다.
본지에서는 지난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발표한 ‘로봇 신흥국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신흥시장 조사 분석’ 자료에서 중국 로봇산업 현황을 발췌해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중국의 산업용 로봇의 설치 건수는 2005년 기준 10만 대를 돌파했으며, 이후 2009년 미국 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로 인해 단기적 위축현상이 나타난 것을 고려하더라도 연평균 10만 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
특히 자동차 및 비철 금속 산업의 경기회복으로 산업용 로봇의 설치 건수는 급증하게 되었는데 2011년에만 38%의 성장률과 함께 총 166,028대가 증가했고, 판매액은 약 85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중국은 미국, 독일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산업용 로봇 주요시장으로 성장했다.
국제로봇연합회(IFR)는 2013~2015년 산업용 로봇의 글로벌 시장 성장률이 연 5%정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고, 그 중 아시아 및 호주 시장은 6%, 미주는 5%, 유럽은 2%의 성장세를 전망하고 있다.

 

캡처.JPG

<그림1> 글로벌 산업용 로봇의 연도별 보유상황(단위: 만 대)
출처. IFR(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 중국의 로봇 시장 동향
- 산업용 로봇
중국 공업용 로봇시장은 초기 발전단계에 진입해 있으며, 아직은 자동차 업종에 대한 수요만이 두드러진다. 이에 비해 한국과 일본은 로봇산업 선진국으로 로봇의 응용영역이 중국보다 더 넓다.
중국 자동차 산업 및 전자제품 산업의 로봇에 대한 수요는 각각 59%, 17%로 자동차 산업의 수요가 압도적인 반면, 한국의 경우 자동차 산업의 용접로봇 수요는 전체 산업 중 34%를 차지하고 있다.
단독으로 자동차 산업을 보면, 총 수요에서 기타 로봇의 수요는 19%이며, 전자제품 및 전자산업에서 로봇의 총 판매량은 무려 52%를 차지했다(전자제품 및 전자산업의 총 판매량은 평균 2만 2천~2만 5천대의 상당한 수준을 기록함).
이처럼 중국에서 공업용 로봇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어가고 있으며, 이것이 다시 전자 및 금속 등 기타 산업에서의 로봇 보급률 또한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서비스용 로봇
2006년 2월 국무원은 ‘국가 중장기 과학 및 기술발전 계획요강 (2006-2010년)’을 발표해 미래 첨단기술의 발전전략을 세우고 서비스용 로봇의 응용영역을 넓혔다.
또한 로봇 연구개발, 디자인, 제조가공, 지능 제어 시스템 및 응용시스템을 통합하는 등 기반 기술을 다졌다.
‘11.5 규획’ 기간 당시, 중국 정부는 또한 863, 973 과학기술 발전 프로젝트를 시행해 일괄 적재 서비스를 로봇 산업에 포함했다. 이는 중국 서비스 로봇의 응용 기술 발전을 촉진했으며 해당 기술은 공공안전, 노약자 및 장애인 서비스, 의료재활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됐다.
일례로, 2008년 북경 올림픽과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테러 방지용 로봇이 사용되었으며, 현재 중국 소방부대는 60대의 소화기 로봇 및 배연로봇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의료 영역에서 임상치료 시 외과 수술용 로봇의 사용도 점차 늘고 있다.
2012년 4월, 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서비스 로봇 과학기술 발전 12.5 특정계획’에 따르면, ‘12.5 규획’ 기간 중 중국은 지능화 첨단설비의 발전을 진흥시키며, 하이테크 생산액 100억 위안을 돌파하는 핵심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서비스용 로봇의 신흥사업, 공공안전용 로봇, 의료용 로봇, 바이오 로봇 플랫폼과 모듈화 핵심 조립부품 등과 관련한 4개의 중요한 프로젝트를 실행할 예정이다.
한편 최근 중국의 독거노인 간병용 서비스 로봇 시장의 규모가 1,600억 위안을 돌파했다.
중국은 지난 30년 간 산아 제한 정책을 시행하여 인구 고령화 및 독거노인 증가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따라서 현재 가정용 서비스 로봇 기술의 발달로 인해 로봇의 대량생산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해지면서 집안일 및 간병을 수행하는 서비스 로봇은 가정부와 같은 역할을 해내며, 독거노인들에게 아주 훌륭한 육체적·정신적 도우미가 되어주고 있다.

 

표. 2007~2011년 주요 국가 및 지역 로봇 평균 판매량(단위: 대)

 

한국

일본

독일

북아메리카

총 합계

중국

자동차

4,347

9,658

6,914

7,823

28,742

9,318

전자제품

7,459

7,945

710

2,778

18,892

2,616

금속품

642

2,243

1,997

1,424

6,306

2,044

기타

3,052

6,512

5,265

5,806

20,635

4,800

총 합계

15,500

26,358

14,886

17,831

74,525

18,778

출처. IFR

 

■ 로봇 품목별 시장동향
IFR(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에서 조사된 통계자료에 의하면 중국로봇시장 중에 가장 많이 응용된 로봇제품은 용접 로봇이며, 그 다음이 운반 로봇과 조립 로봇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산업의 수요상황을 고려했을 때 중국의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과 전자 및 전기산업 등이 최대 수요산업으로 꼽혔으며 고무 및 플라스틱산업, 금속처리 산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 자동차산업
자동차 산업용 로봇은 주로 점 용접, 아크 용접, 래커, 조립, 운반, 스탬핑 등의 작업과정에서 이용된다.

 

표. 자동차산업용 로봇 시장크기(단위: 대)

로봇유형

2012

비율(%)

SCARA

1,540

13.1

Delta

85

0.7

Articulated

9,260

78.6

직교좌표

671

5.7

롤러 이동형 팔

225

1.9

집계

11,781

100.0

출처. CVM(CreativeView Monitor)

 

- 전자산업
전자산업용 로봇은 주로 조립, 래커, 운반, 가공, 점검 및 테스트 등의 작업과정에서 이용된다.

 

표. 전자산업용 로봇 시장크기(단위: 대)

로봇유형

2012

비율(%)

SCARA

2,830

11.7

Delta

45

0.2

Articulated

2,020

8.4

회전 기계 팔

2,000

8.3

직교좌표

17,055

70.6

롤러 이동형 팔

200

0.8

집계

24,150

100.0

출처. CVM(CreativeView Monitor)

 

- 식품 및 음료산업
식품 및 음료산업용 로봇은 주로 적재, 운반, 포장 및 습취 등의 작업과정에서 이용된다.

 

표. 식품 및 음료산업용 로봇 시장크기(단위: 대)

로봇유형

2012

비율(%)

SCARA

108

1.9

Delta

311

5.6

Articulated

3,435

62.0

직교좌표

1,645

29.7

롤러 이동형 팔

45

0.8

집계

5,544

100.0

출처. CVM(CreativeView Monitor)

 

그림2. 주요국가의 산업용 로봇 투입율(단위: 만 명당 로봇 대수)

1.JPG
출처. CVM(CreativeView Monitor)

 

그림3. 중국 공업용 로봇 누적 설치 수량(단위: 대)

2.JPG
출처. IFR

 

그림4. 연간 공업용 로봇 설치 수량 및 중국시장 비중

3.JPG
출처. IFR, CVM

 

■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 전망


- 낙후 영역의 수요 확대
한국과 일본의 로봇 산업의 경험을 결합해 중국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고급형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산업, 전자 통신, 금속 제품, 플라스틱 공업, 가전산업 등에 비교적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중저급형 산업용 로봇은 중국내 창고 물류, 금속 화장실, 석유화학 공업, 식품음료,
담배 및 약품 산업, 화학비료 등 기타 산업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저가인 경제형 로봇, 향후 시장의 점유율 향상 전망
중국에서 노동자를 대체하는 공업용 로봇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년 뒤 중저가의 경제형 로봇은 최고 성장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의 공업용 로봇 수요는 고가의 복잡형과 중저가의 경제형에 치중되어 있다. 전 세계 하류지역의 로봇 사용유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로봇의 수요단계가 점점 깊어질수록 응용 구조는 더욱 분산되어 경제형 로봇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서비스 로봇시장 태동기, 향후 성장 가능성 커
중국의 서비스로봇산업은 아직 발전 초기에 위치해 있으며, ‘국가 중장기 과학 및 기술 발전 규획 요강(2006-2020년)’에 의해 중국정부는 서비스 로봇산업을 미래 전략적 첨단기술발전의 우선 항목으로 지정, 서비스 로봇 응용 수요에 의거한 설계방법 연구, 제조 기술 발전, 지능제어 및 응용시스템 통합 등 기반기술의 개발의지를 뚜렷하게 표명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로봇영역에서 인기제품들이 잇따라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특수 작업용 로봇의 경우 주로 극한작업 로봇, 반테러 로봇, 긴급구조 로봇, 정찰 로봇, 작전 로봇 및 군사용 운반 로봇 등의 상품이 인기가 많다.
의료서비스 로봇의 핵심품목은 외과수출 로봇, 혈관 치료용 로봇, 지체회복 로봇, 지능의지 로봇 등을 포함하며, 가정서비스 및 교육오락로봇의 주요제품은 청소로봇, 교육 및 오락 로봇, 정보서비스 로봇 등이 있다.
현재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은 거대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는 중이다.

 

■ 2014년 중국의 수출 여건과 정책변화
고정자산 투자 감소는 중국이 대규모 투자 기반의 성장방식을 택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파악되기 때문에 경제성장보다 내실에 주력한 개혁으로 중국경제 점진적 개선이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지연으로 위안의 대 달러 강세의 지속이 점쳐지고 있다. 중국과 경쟁구도에 있는 여타국가의 통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중국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 및 중국내 해외 수출기업의 난관이 예상된다.

 

표. 중국 2014년 경제공작회의 및 도시화공작회의 6대 중점 정책 내용

경제공작회의

2014년 도시화 공작회의

2013

2014

산업구조조정 확대

산업구조조정 가속화 및 업그레이드

농업이동인구 도시화 추진

채무리스크 방지

거시조정 강화 및 경제안정 성장

도시건설용지 이용률 제고

국가식량안전 보장

농업을 기초로 농산품 공급 보장

다원화되고 지속가능한 자금지원 메카니즘

지역협력발전 추진

도시화 업그레이드

도시화 지역 배치 특화

민생업무 개선 및 보장

민생강화 및 생활수준 향상

도시화 건설 수준 제고

대외개방수준 확대

경제체제개혁 심화 및 개방 지속

도시화 관리 강화

출처.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중국 시장을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을 위한 조언


- 합리적인 유통시장을 통해 중국 로봇시장 공략


① 대리상을 통해 제품 판매: 대형대리상(WD), 도매상(批.商),최종 소비자 시장을 통해 제품 판매
· 장점: 빠른 시일 내 중국 시장을 점령할 수 있으나, 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수 있음. 시장 현황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판매통로가 없는 부품회사가 선택하기에 좋은 방법임.
· 단점: 독점판매로 인한 리스크가 크며, 중개상이 이윤을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

 

② 자체 판매 사이트: 중국 전국에서 자체 판매망을 구축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방법
· 장점: 제품 판매를 기업이 직접 통제 할 수 있으며, 판매이익이 모두 기업 소유임.
· 단점: 판매망을 구축하는 데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소요됨. 규모가 큰 중국 시장은 지역별로 소비자 특징이 상이해 전국 판매망을 구축하는 것은 리스크가 큼.


- 주요 산업별 시장전략
① 자동차 시장: 자동차 기업의 공급상 선정과정은 매우 까다로움. 따라서 한국기업은 공급상으로 선정되기 까지 초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됨. 대형 대리상을 통해 구매상을 찾아 어느 정도의 판매량을 달성한 후 나중에 구매상과 직접 거래하는 방법을 권장함.

 

② 전자 제조업: 중국 전자 제조업 종사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며, 시스템 통합업체를 통해 전국유통망을 구축함.

- 기타 효율적 마케팅 방법
한국 브랜드는 중위권 가격 전략을 택하고 있으며, 실력 있는 총괄 책임자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브랜드의 지명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전략을 취함.

 

그림5. Deburring Wheel Production Line

4.JPG
출처. 불산 LXD ROBOTICS

 

그림6. Elevator Pedal Grinding Machine

5.JPG
출처. 불산 LXD ROBOTICS

 

그림7. Large Single-axis Serve Horizontal Type Manipulator Series

6.JPG
출처. PRECISON MACHINERY

 

<본 기사는 월간<로봇기술> 9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