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일본 단조기(鍛造機,HS코드 : 846210) 시장동향 김재호 기자입력2014-08-26 17:08:03

1. 시장현황 


1) 시장규모
일본의 단조기 시장규모는 2013년 108억 엔을 기록, 전년 대비 40.1% 증가하였다. 

Untitled-1.jpg

2)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주된 수요처가 자동차산업과 전기·전자기기산업 등이며, 자동차산업이 호조를 보여 전반적으로는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2008~2010년에 걸쳐 리먼 쇼크 등으로 전체 경기 및 설비투자 수요가 극단적으로 악화되었다. 이에 대한 반동으로 미뤄 둔 설비투자가 적극화될 조짐이 있다.

 

◎ 수요 감소 예상 요인
전기기기산업의 부진이 예상되며, 일본 전기기기산업의 수출 저하 및 생산기지 해외 이전 증가, 중국을 중심으로한 해외 기업의 설비투자 의욕이 저하.

 

◎ 무역관 전망
2014년 일본 내 설비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조기를 포함한 제조업 설비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일본의 단조기 출하액은 전년 대비 11.5%가 증가한 120억 엔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엔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경쟁력 저하는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3)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주요 소비자 계층 : 자동차 및 전기기기 메이커구매 동기 : 신규 설비 도입 등


4) 수입동향
◎ 2013년 일본 단조기(HS Code 846210)의 수입은 전년대비 20.5%가 증가한 2억21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아 수입시장 점유율이 29.0%를 차지했다.


5)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동향

2.jpg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1) 수입규제제도
◎ 규제 내용: 특별히 없다.
◎ 필수 인증: 특별히 없다.


2) 관세율
◎ 관세율 : 무세
◎ 통관 시 유의사항 : 특별히 없다.


3) 주요 유통채널
◎ 주 수요처가 자동차 및 전기기기 메이커이며 대부분B2B 형태다.
◎ 전형적인 수주산업이며 연간 수요도 200~300대 수준이기 때문에 대기업의 설비투자 동향에 매출이 민감하게 좌우될 수밖에 없는 업종이다. 해외진출 일본 기업의 설비투자 동향도 수요 변동의 큰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3. 경쟁동향


1) 주요 경쟁업체

3.jpg

 

2)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헤드, 포머, 와이어포밍머신, 신선기 등 기계별로 국내에 전문업체가 있으며, 수요 자체가 방대한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수입품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1) 전문 전시회 정보

4.jpg

 

2)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품질경쟁력 중시, AS 망 구축, 거래 상대방과의 신뢰성
◎ 현지 바이어 구매 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주문 생산 제품이므로 미리 품질과 가격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납품 이후의 AS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수요처가 외국산 제품의 경우 일본에 거점을 보유하거나 공식 대리점이 있는 업체 제품을 선호 하고 있다. 이에 최종 사용자의 요구와 의견에 언제나 대응 가능한 기동성이 중요하다.


3)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한정된 수요처에 접근해서 제품을 제안해야 하기 때문에 수요처 담당자와의 신뢰관계 구축과 기술, 영업능력이 동시에 요구된다.
단조, 압연 기계를 통틀어 단압기계로 제작되는 제품은 단압제품으로 불리며, 단압제품은 자동차공업과 전자·전기 기기산업용이 전체 수요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수요가 편중되어 있다. 새로운 수요처 개발을 위해서는 신재료의 가공기술, 고정밀 가공기술, 미세 가공기술 등을 어필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 자료 : KOTRA 도쿄무역관 >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