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격 운전 실증 차량의 모습 / 사진. 기아
기아가 일반 도로 환경에서 원격 운전 실증 시연에 성공했다. 기아는 11월 27일(목) 제주도에서 국토교통부, 제주특별자치도,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관계 기관과 기아, 쏘카, 에스유엠(SUM), KT 주요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원격 운전 실증 성과 공유회’를 열고 기술 개발 현황과 실증 결과를 공개했다.
원격 운전 기술은 외부 관제센터에서 4G·5G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전자 없이 차량을 운행·제어하는 방식이다. 높은 기술 완성도를 바탕으로 빠른 서비스 도입이 가능하며, 자율주행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시 대체 기술로 활용도가 높다. 특히 교통 소외 지역 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확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사용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아는 올해 4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원격 운전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승인받고, 쏘카·에스유엠·KT와 ‘원격 운전 컨소시엄’을 구성해 제주와 화성 지역에서 실증 협업을 진행했다. 협업에서 기아는 프로젝트 총괄을, 쏘카는 카셰어링 플랫폼 제공을 맡았으며, 에스유엠은 원격 솔루션 개발과 실증 차량 운영을 담당했다. KT는 원격 운전에 필요한 네트워크 구축과 망 관리를 맡아 통신 기반을 확보했다.
컨소시엄은 실증을 위해 기아의 신개념 중형 PBV ‘PV5’를 기반으로 원격 운전 시스템을 개발했다. 통신 품질 저하나 통신 단절과 같은 돌발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이중 통신망을 구성하고, 원격 운전 담당자 교육, 긴급 출동 시스템 구축, 안전장치 다중화 등 실제 환경에서의 리스크에 대비한 절차를 마련했다.
실증 과정은 내부 사전 테스트 1단계 완료 후, 2단계로 제주 지역 공도 시범 운행을 진행했다. PV5를 활용해 ▲제주공항↔제주쏘카터미널 ▲제주공항↔용두암 등 여러 노선에서 총 70시간, 1,000㎞에 달하는 주행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컨소시엄은 실증에서 수집된 데이터 기반으로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향후 여러 지자체와 협력해 원격 운전 검증을 지속할 예정이다.
실증 행사에서는 컨소시엄 참여 기관 관계자와 정부 유관 인원이 PV5 기반 원격 운전 시연 차량에 동승해 안전성과 기술 적용 가능성을 직접 확인했다. 기아는 원격 운전 기술이 교통 소외 지역을 위한 이동 서비스 등 공공 인프라 취약지역 지원에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카셰어링, 물류 등 민간 산업에서도 높은 확장성을 갖춘 기술이라며 향후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라며 기대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