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 AI 기반 작업형 휴머노이드 로봇 공동 사업화 / 사진. 로보티즈
로보틱스 전문기업 로보티즈가 피지컬 AI 기반의 작업형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위한 협력에 나섰다. 회사는 7월 7일(월), 서울대 AI 연구원장 장병탁 교수가 대표로 있는 투모로 로보틱스와 ‘피지컬 AI 기반 작업형 휴머노이드 로봇 공동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 상업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형 로봇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최근 국내 로봇 업계에서 주목받는 ‘K-휴머노이드 연합’의 일환이기도 하다.
로보티즈는 자사의 원천기술인 DYNAMIXEL 액츄에이터와 DYD 감속기 기술을 기반으로 고정밀·고효율 로봇 하드웨어 및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고, ROS 기반 시스템 통합을 담당한다. 반면, 투모로 로보틱스는 음성 및 비전 인식, 자연어 처리 기반의 제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서비스 시나리오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맡는다. 양사는 이를 통해 인간과 협업 가능한 작업형 로봇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력은 로보티즈가 7월 공식 출시한 피지컬 AI 기반 작업형 휴머노이드 ‘AI Worker’의 확장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AI Worker는 물류 및 제조 자동화, 비정형 환경 대응, 모방 학습·강화 학습 플랫폼 적용 등 여러 산업 영역에서 실증을 진행 중이다. 현재 투모로 로보틱스에 5대가 납품됐으며, 이외에도 다수의 고객사로의 공급과 신규 계약이 진행되고 있다.
로보티즈는 이를 기반으로 B2B 중심의 수익 모델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로봇 모듈형 부품, 유지보수 서비스, 실사용 데이터(Real World) 판매 등 다양한 수익 구조를 동시에 구축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피지컬 AI 기반 ‘AI Worker 플랫폼’의 글로벌 확장 및 투자 유치도 추진할 계획이다.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는 “이번 협약은 양사의 강점을 살린 실질적 협력의 첫걸음이며, 향후 상용화 가능한 로봇 제품군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투모로 로보틱스 장병탁 대표는 “AI 기반의 인간 중심 기술과 로봇 하드웨어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