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티즈, 한국통합물류협회 업무협약식 / 사진. 로보티즈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가 작업형 휴머노이드 'AI Worker'를 중심으로 물류자동화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로보티즈는 4월 25일(금) 한국통합물류협회와 ‘비정형 물체 분류 모바일 양팔 로봇 시스템 개발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사의 핵심 기술력과 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람처럼 보고 배우는 Physical AI 기반 로봇을 물류 산업 현장에 적용해 자동화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로보티즈의 AI Worker는 이번 협약의 중심 기술이다. 이 로봇은 MIT, 스탠포드 등 해외 유수 기관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은 로보티즈의 국산 액츄에이터(DYNAMIXEL)와 감속기(DYD)를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강화학습과 모방학습이 가능한 Physical AI를 활용해 비정형 물체를 인식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즉, 물건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거나 위치가 달라지는 상황에서도 사람처럼 판단하고 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로보티즈는 AI 기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제어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한편, 한국통합물류협회의 산업 네트워크를 통해 약 180여 개 물류·유통 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처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는 AI Worker는 물류 현장 자동화의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한국통합물류협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로봇 시스템의 실증 기반을 마련하고, 효과성과 비즈니스 모델(BM) 창출을 지원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 및 수행해 사업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는 “이제 로봇은 단순 반복 작업을 넘어서 사람처럼 보고 배우며 일하는 시대가 됐다”라며, “이번 협약은 물류 산업뿐 아니라 제조, 건설,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자동화를 앞당기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통합물류협회 신영수 회장은 “기술은 현장에서 쓰일 때 진짜 가치를 가진다”라며, “현장의 니즈에 기반한 실질적인 로봇 솔루션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며, 국내 물류 산업의 첨단화를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