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화 업계를 대표하는 산업 전문 전시회 AW 2025가 지난 3월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전시회에는 22개 국가의 500여 기업이 총 2,200부스 규모로 참석했고, 참관객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7만 명 규모를 기록했다. 본지에서는 AW 2025 현장에서 살펴본 로봇 자동화 분야 트렌드를 살펴봤다.
#4. 물류 자동화의 새바람
물류산업은 로봇 자동화 업계의 전통적인 시장 중 하나로, AW 2025 현장에서도 다양한 물류 솔루션들이 공개됐다.
일본 시바우라머신 스카라 로봇을 기반으로 국내 박스 커팅 자동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엑트엔지니어링은 최근 다음 스텝을 준비하고 있다.
엑트엔지니어링은 지난해 국내 대기업 물류사에 박스 커팅 머신을 납품, 운용 중이다. / 사진. 로봇기술
회사는 몇 해 전 스카라 로봇을 이용한 박스 커팅 머신 ‘ABC 100’을 개발,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물류 대기업에 납품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다양한 업종의 관계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박스 커팅 머신 자동화에 대한 문의를 받고 있다.
엑트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올해 전시회를 통해 박스 커팅 작업을 자동화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다는 것을 느꼈다. ABC 1000의 기능 소개에 집중했던 이전과 달리 최근에는 장비 앞, 뒤로 연계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논의를 많이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큰 관심을 모았던 엑트엔지니어링의 박스 커팅 머신 ‘ABC 1000’ / 사진. 로봇기술
그간 엑트엔지니어링은 단독 장비로서 ABC 1000을 납품했지만, 최근에는 박스 커팅 작업 전후로 연계할 수 있는 솔루션들을 고려하고 있다. 실제로 ABC 1000은 팔레트에서 컨베이어로 박스를 내려주는 디팔레타이저를 장비 앞단에 설치하거나, 박스 커팅 이후 AMR을 뒷단에 연동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기업과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 중으로, 이 같은 구성은 물류 회사들이 광범위한 인라인 공사를 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셀로서 현장에 통합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5월 설립된 아톰로봇코리아는 국내 물류 자동화 시장에서 단기간에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면서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
아톰로봇코리아는 이날 자사의 주력 제품인 델타로봇과 협동로봇 팔레타이저, 그리고 스카라 로봇 데모를 소개했다.
아톰로봇의 주력 제품은 델타로봇이다. 중국 내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면서 장기간 수많은 공급사례를 만들어냈으며, 국내에서도 1년이 채 되지 않아 상당한 납품 실적을 기록했다.
아톰로봇의 델타로봇 시스템 / 사진. 로봇기술
아톰로봇코리아 관계자는 “오랫동안 방대한 레퍼런스를 쌓아온 만큼, 고객사에서 안건이 접수되면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이는 고객사 현장에 빠르게 제품을 설치,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라고 전했다.
아톰로봇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격적으로 어필한 또 다른 제품은 협동로보 팔레타이저이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에서 공급되는 협동로봇 팔레타이저 중 유일하게 협동로봇 안전 인증까지 획득해 펜스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반하중 기준 20/30/40㎏까지 대응 가능하며, 최대 2,300㎜ 높이까지 박스를 적재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아톰로봇의 협동로봇 팔레타이저 / 사진. 로봇기술
한편 아톰로봇코리아는 이날 협동로봇 팔레타이저의 RaaS 공급 모델도 함께 소개했다. 가반하중 30㎏, 팔레트 포함 적재 높이 2.1m 모델 기준 36개월 계약 시 월 구독료 160만 원에 제품을 공급한다. 36개월 이후에는 보증금 환불 및 소유권 이전이 가능하며, 연 2회씩, 3년간 총 6회의 무상 점검 서비스와 그리퍼, 컨베이어 및 1일 교육을 제공한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Monthly Focus ①] AW 2025 로봇 트렌드 리포트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Monthly Focus ②] AW 2025 로봇 트렌드 리포트 - 신형 로봇 제어기
[Monthly Focus ③] AW 2025 로봇 트렌드 리포트 - 용접 로봇 자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