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정책 및 기술 세미나' 포스터/ 사진. 화학경제연구원
화학경제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오는 10월 19일(목)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 2회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정책 및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번에 개최되는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정책 및 기술 세미나를 통해 폐플라스틱 정책 및 국내외 동향과 국제 친환경 인증 자격, 폐플라스틱 회수 및 소재별 리싸이클링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지난 2022년에 발표한 '글로벌 플라스틱 아웃룩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폐플라스틱 양은 1억 5,600만 톤에서 지난 3억 5,300만 톤으로 2년 새 두 배 규모로 늘어났다. 그러나 재활용되는 비율은 9%에 불과하며 관리되지 못하고 자연에 버려지는 것도 20%가량으로 집계되는 등 플라스틱 쓰레기 누적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정부는 2024년 이후 본격화될 Post-플라스틱 시대를 준비하며 2025년까지 폐플라스틱 발생 20%를 감축하는 목표를 가지고 근본적인 탈플라스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22년 10월 20일 대체서비스 기반 일회용품 감량, 소각형 재활용이 아닌 물질·화학 원료로 활용되는 온전한 재활용의 확대와 재생원료, 대체재 산업 및 육성, 국제사회 책무 이행 등의 4가지 과제를 추진하는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했다.
플라스틱 리싸이클링에 대한 국내외 정책 강화에 따라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산업이 미래의 탄소중립과 순환자원경제의 핵심으로 여겨지며, 국제적인 동향에 발맞춰 빅케미칼 기업들이 친환경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 다뤄지는 주요 의제는 ▲플라스틱 재활용 국내 정책 및 현황 ▲지속 가능한 Recycled인증 프로그램 소개 ▲Sustainability 사업저략 및 Chemical Recycle추진 현황 ▲순환자원 AI 폐플라스틱 회수, R-PET Flake 가공소재화를 통한 재활영 밸류 체인 구축 ▲폐플라스틱 Advanced Recycling Cluster ▲폐플라스틱 활용 친환경 리싸이클링(Recycled PE, Bio-PVC) 수지 개발 및 사용화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위한 화학적 재활용 기술 ▲해양폐기물 회수 및 리싸이클링 나일론, PP, PE 등 플라스틱 소재 추출 기술 등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플라스틱 리싸이클링으로 탄소중립, 순환경제, ESG경영 확산 등 친환경 재생 플라스틱 기술에 대한 글로벌 석유화학 시장의 동향과 플라스틱 리싸이클링 산업의 전망까지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