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한-폴란드 간 경제협력 관계를 고도화하고 협력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 7월 14일(금)에 한-폴 비즈니스 토론회(포럼)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포럼)에서는 양국 경제단체, 대기업, 중견 및 중소기업 등 경제계 인사 350여 명이 참석해 배터리 등 첨단산업, 원전 및 방산 등 기존 협력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협력을 고도화하는 방안과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공항과 고속철도 등 공공기반시설(인프라) 분야에서의 새로운 협력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상호 호혜적인 미래 협력 관계의 도약 기반을 마련했다.
아울러 양국 기업들은 우리 측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 폴란드 측 발데마르 부다 경제개발기술부 장관 임석 하에 총 33건의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먼저, 배터리, 미래차, 항공 등 첨단산업, 로봇, 기계, 철도 등 제조업, 시험인증 및 연구·개발(R&D) 등 분야에서 11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 이를 통해 양국의 기존 협력 분야가 더욱 공고히 되고 협력 저변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기반시설(인프라), 우크라이나 재건 등 분야, 원전·수소 등 저탄소 에너지 분야에서 13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 우크라이나 재건 거점 국가인 폴란드와 협력 토대를 마련하고, 저탄소 에너지, 탄소 중립 등 관련 폴란드와 협력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아울러 양국 간 금융, 관광, 인력교류 등 새로운 협력 분야에 9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돼 제조업 위주의 기존 협력 분야가 대폭 확대됐다.
이를 통해, 현지에서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동반자(파트너)’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이 폴란드와 미래를 함께 할 수 있는 동반자로서 확고한 위상을 정립하는 새로운 계기(모멘텀)를 확보했다.
특히, 국내 지방 국립거점대학(부산대, 경북대, 전남대)과 폴란드 산업의 핵심인재를 배출하고 있는 바르샤바 공대, 연구중심의 아담 미츠키에비치대는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첨단분야 이공계 인재 교류를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이는 우리 지역 청년들에게 국제적(글로벌) 역량을 갖출 기회를 제공하고, 한-폴 청년 간 첨단산업 분야의 미래지향적인 협력 동반관계(파트너십)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폴 경제협력 동반관계(파트너십)가 다변화·고도화되고, 양국이 첨단산업을 비롯한 미래지향적 협력을 함께하는 최상의 동반자(파트너)라는 공감대가 퍼진 만큼, 정부는 이번에 체결된 양해각서(MOU)가 사업 계획(프로젝트)으로 구체화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