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버커트코리아, 디지털 자동화 시스템 활용한 유량제어 솔루션 실현 데이터 기반 설비 구축으로 생산성 향상 촉진 김용준 기자입력2023-07-14 15:57:37

버커트의 유체 제어 및 자동화 솔루션 / 사진. 버커트코리아

 

유체 제어와 자동화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버커트(Burkert)는 오랜 기간 해당 분야의 R&D 역량 제고를 위한 기술 투자와 더불어 시장 내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를 고객사와 함께 고민하며 공정 혁신에 기반한 생산성 향상을 제안하고 있다.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버커트코리아는 이와 관련해 국내 시장에 최적 대응을 위한 제품 라인업을 본사 측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수많은 충성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동사는 한국 산업계의 핵심 분야라 일컫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 전자산업에서의 전공정 관련 장비 및 소재 생산 공정, 바이오 및 제약 생산 공정 등을 개선하는 제품군과 함께 고순도 수처리 설비 등을 공급하며, 레퍼런스를 쌓아왔고 이를 조선, 철강, 자동차 분야로 확장시켜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하기도 했다. 

 

버커트는 그동안 자동화와 디지털화에 많은 투자를 해왔으며, 이에 따라 동사의 다양한 제품군이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식음료 시장에 성공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버커트는 이에 그치지 않고, 고객사의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해 함께 고민하며, 최적의 아이템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타사와 차별점을 제시한다. 여기에는 커스터마이징 형태의 솔루션도 포함돼 있다. 

 

Fluid Control System / 사진. 버커트코리아

 

실제로 버커트는 자사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제약 및 바이오 산업계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구축한 바 있다. 리액터와 발효기에 PLC를 연결함으로써 자동화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고객사는 보수비용 절감과 실시간 현황 파악에 기반한 체계성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버커트는 다이아프램 밸브와 질량유량계를 통해 제약/바이오 시장뿐 만 아니라 식음료 공장의 디지털화를 실현했다. 최근에는 한국의 대형 아이스크림 제조 공장에서 밸브 및 자동화 솔루션을 진행했다. 

 

추가적으로 질량유량계를 모듈로 공급하는 시스템 솔루션은 제약 바이오 공장 내 실험장비의 공간을 절약하고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있다. 대부분의 통신제어 프로토콜과 상호 연결 및 통합이 가능한 만큼 작업자는 별도의 이동 동선을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아도 되며, 시의 적절한 데이터 활용을 통한 관리가 가능 해졌다. 또한 고객의 공정 개발부터 생산규모를 늘릴 수 있으며 수명이 긴 만큼 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버커트 토탈 솔루션 과정 / 사진. 버커트코리아

 

이외에도 버커트가 공급하는 스마트 공장에서의 IO-Link 기술은 밸브, 센서, 질량유량계를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로 연결해 디지털솔루션을 제공한다. 버커트의 토탈 솔루션은 고객이 사용하는 상위 제어기와 쉽게 연결이 가능하고 다양한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와 쉽게 통합이 가능한 만큼 편의성과 활용성 면에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한편, 버커트는 최근 자체 개발한 제약 바이오 식음료 전용 콘트롤러 및 소프트웨어를 출시함에 따라, 버커트코리아도 자체 기술 교육 센터를 설립했고, 고객을 위한 시연회 및 기술 교육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자체 엔지니어링팀이 고객에 맞춤형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자동화 토털 솔루션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