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가 뿌리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지난 4월 6일(수)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문승욱 장관 주재로 뿌리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중소기업중앙회 김기문 회장,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등 기존 6대 뿌리조합 대표들과 함께, 새롭게 뿌리산업에 포함된 적층제조, 정밀가공 등 차세대 8대 공정 분야 협·단체 대표들이 참석했다.
지난해 10년만에 뿌리산업법을 개정하여 뿌리산업의 범위를 기존 6대에서 14대로 확대한 이후, 14대 협·단체 대표들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산업부는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미래 뿌리산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간담회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부(소재부품장비협력관)는 ‘뿌리산업 현황과 과제’ 발제를 통해 ▲14대 뿌리기술 R&D 예타 추진 ▲디지털 뿌리명장센터 추가 지정 ▲지능형 뿌리공정 시스템 구축예산 확대 ▲특화단지 차세대 공정분야로의 확장 ▲뿌리-ICT 대학원 융복합 특화과정 개설 등을 논의하며 올해부터 14대 뿌리산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산업부를 중심으로 노동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는 2022년 뿌리산업 분야에 작년 대비 18.6% 늘어난 총 1,91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며, 분야별로는 뿌리산업 연구개발 958억 원, 인력양성 419억 원, 뿌리공정 설비구축 지원 173억 원 등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 자리에서 뿌리업계 관계자들은 정부 정책방향에 대한 현장의견과 업계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참석자들은 숙련인력 기술전수 활성화, 대중소 상생협력 등 기존 애로뿐만 아니라, 산업지능화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기업과 뿌리기업 간 네트워킹 활성화, 로봇용접사 자격증 도입, 업종간 협력형 해외진출 등 14대 뿌리산업 확장에 따른 다양한 발전방안들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