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기재차관,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적극 지원" 시범운행 지구 방문해 현장 의견 청취 김용준 기자입력2022-03-16 16:10:18

기획재정부 이억원 1차권이 서울 상암에 위치한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를 방문했다(사진.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이억원 1차관이 서울 상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를 찾아 현장점검과 함께 전문가 간담회를 16일(수) 개최했다.


이번 방문은 올해부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레벨3 자율주행차를 출시하는 동시에 레벨4 자율주행 기술개발 경쟁을 본격화한 상황에서, 2027년 세계 최초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 기술 및 서비스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 애쓰는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정책적 제언을 듣고자 이뤄졌다.


이억원 차관은 관제실에서 상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의 현황과 현재 실시 중인 유상운송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실제 서비스 중인 자율주행차를 스마트폰 어플로 호출해 탑승하고, 도로를 주행하면서 시스템 작동 체계와 운영방식에 대한 설명을 청취했다.


이어진 간담회에서 이억원 차관은 디지털 뉴딜의 핵심이자 통신, 플랫폼 등 다양한 산업들과의 수평적 협업을 기반으로 미래 핵심산업이 될 자율주행 산업의 혁신성과 확장성을 언급하면서, 정부의 육성 의지와 방향을 설명했다.

 

그의 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2022년 2,4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인지예측센서 등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함과 동시에 대중교통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다. 특히, 센서, 라이다 등 자율주행 핵심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해 올해부터 본격 착수한 1.1조 원 규모의 범부처 R&D사업이 향후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 필수적인 안전성 평가 기준 및 보험체계를 2024년까지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도 확충하고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규제자유특구(세종, 광주) 운영을 통해 민간기업의 자유로운 기술 및 서비스 실증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억원 1차관은 “자율주행산업협회가 공식 출범하는 등 자동차와 통신, 플랫폼 업계가 협업을 강화해나가는 상황에서 이러한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도 현장과 적극 소통해 나가겠다”라며 “간담회에서 제기된 의견들을 최대한 수렴해 지속적으로 정부 정책에 반영하는 등 자율주행 혁신을 적극 뒷받침 하겠다”라고 밝혔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