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흉추통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총 진료 인원은 2015년 13만 9천 명에서 2019년 15만 3천 명으로 1만 4천 명이 증가했고(10.5%), 연평균 증가율은 2.5%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흉추통증’ 질환 진료 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전체 진료 인원(15만 3천 명) 중 60대가 20.9%(3만 2천 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9.5%(3만 명), 70대가 17.8%(2만 7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18.4%, 60대 18.3%, 40대 1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2.6%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70대가 각각 20.2%, 19.9%를 차지했다.
● 원인
흉추통증의 발생 원인으로 일반적으로는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등 주위의 근육에 대한 자극이다. 어깨는 양쪽의 어깨 주위 근육에 의해 견갑골과 흉곽 뒤쪽에 부착된다. 특히 어깨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나 반복적인 옳지 못한 자세의 유지, 수상 등으로 인해 견갑골과 흉곽 뒤쪽에 부착돼 있는 근육의 긴장이 발생하게 되면, 흉추통증이 일어나게 된다.
두 번째는 관절 기능 장애이다. 등이라고 불리는 흉추는 척추 안의 관절들뿐만 아니라 갈비뼈와도 관절면을 이루고 있다. 비교적 흉곽이라는 구조는 운동성이 없는 안정적인 구조이나, 갑작스런 부상이나 노화로 인한 자연적인 변성으로 인해 흉추 관절의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 흉추의 디스크 탈출증, 흉추체의 압박성 골절, 감염성 척추체염, 대상포진, 강직성 척추염 및 섬유근통증이 정형외과적인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흉추통증은 꼭 정형외과적인 원인이외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주요 증상
흉추통증은 부상이나 명백한 이유 없이 갑자기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자세가 좋지 않은 상태를 시행했던 이후, 시나브로 견갑골 주위부가 뻐근하게 불편한 것에서부터 앉거나 일어날 때 심해지는 양상 등의 증상은 굉장히 광범위하게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방사통 또는 가슴이나 복부의 바늘이 찌르는 것과 같은 따끔거림, 발열 또는 오한, 보행시 중심을 못잡거나 날로 심해지는 두통 등이 있다.
● 예방법
흉추통증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휴식, 자세 조정, 온찜질 또는 냉찜질 등의 자가 관리를 통해 허리 통증을 관리할 수 있다. 통증이 지속되더라도 수술적인 치료 없이 약물, 물리 치료와 같은 치료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
무거운 물건을 머리 위로 올리는 작업을 오랫동안 유지하거나 어느 한쪽으로 어깨를 많이 쓰는 작업을 하는 경우, 머리를 앞으로 숙이는 작업을 많이 하는 경우 흉추통증이 유발 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또한 30분에서 1시간마다 가볍게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디스크의 퇴행을 유발하는 흡연은 삼가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