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골절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가입자 중 골절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5년 217만 명에서 2019년 243만 명으로 25만 명이 증가했고(11.6%), 연평균 증가율은 2.8%로 나타났다. 남자에 비해 여성 골절 진료 인원이 증가 추세가 월등히 높았고, 특히 2018년부터 여성골절 진료 인원이 남성보다 더 많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골절 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 인원(243만 명) 중 50대가 17.6%(42만 8천 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7.0%(41만 3천명), 70대가 13.0%(31만 6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17.0%, 10대 15.1%, 60대 및 40대가 각각 14.7%, 13.9%를 차지했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19.3%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70대가 각각 18.2%, 16.7%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김성훈 교수는 50대~6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골밀도의 감소는 연령이 높을수록 더 뚜렷하고, 아마도 50대~60대 연령층에서 활동량은 많으나 근력과 유연성의 감소 등으로 인해 낙상이나 스포츠 손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 원인
가장 흔한 것은 뼈에 직접적인 외상이 가해지는 경우로 타박골절, 압좌골절, 관통골절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인대나 힘줄의 갑작스런 견인에 의해 발생하는 건열골절, 척추에 흔히 발생하는 장축으로 압력이 가해져 발생하는 압박골절, 팔씨름 도중 강한 회전력에 의해 상완골에 흔히 발생하는 회전골절 등의 간접적인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통사고, 추락, 낙상 등에서는 여러 종류의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다양한 형태의 골절이 나타날 수 있다.
● 주요 증상
골절이 발생하면 뼈의 지지 기능이 소실되고 보통 연부조직의 손상이 동반된다.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이나 척추의 경미한 압박 골절에서는 통증이 미미해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있다. 골절 시 뼈의 지지 기능이 소실되고 골절 부위의 출혈로 인해 종창이 발생해 골절 부위의 변형이 육안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골절 시 발생하는 통증과 뼈의 지렛대 기능의 소실로 인한 기능장애도 생길 수 있다.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신경 및 혈관의 손상이 동반돼 나타날 수 있다.
● 예방법
골절의 예방으로 가장 중요하는 것은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고령에서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근력을 유지하고 유연성을 기르기 위해 꾸준히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다.
남성의 경우 70세 이상, 여성의 경우 폐경 후에는 골밀도 검사를 반드시 시행해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도를 확인하고 골다공증이 있을 시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 또한 칼슘과 비타민 D의 적절한 섭취 또한 골다공증 예방에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