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2019년간 독감 진료 환자를 분석한 질병통계를 발표했다.
독감으로 진료를 받은 건강보험 환자 중 20대 이하 환자가 69.5%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64.6%에서 2019년 69.5%로 꾸준히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최흔 교수는 최근 5년간 20대 이하 독감 환자 수가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원인으로 “20대 이하의 연령에서는 어린이집, 학교 등 단체 생활을 하는 인구가 많아 전파가 잘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예방법으로는 “유행 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사회적 거리두기, 손씻기과 마스크 착용,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기 않기 등의 개인 방역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독감 진료 환자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019년 30대 환자 수는 197,341명, 40대는 153,091명, 50대는 93,330명, 60대는 60,669명, 70대 이상은 36,280명이 진료를 받았다. 최흔 교수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독감 진료 환자 수가 줄어드는 원인에 대해서는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인 65세 이상 인구에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은 80%가 넘으며, 백신의 효능은 낮을 수 있겠지만 높은 접종률로 감염 인구가 많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설명했다.
독감 환자 수는 최근 5년(2015~2019년)간 여자환자가 남자환자 보다 평균 1.2배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9 진료인원은 여자환자 942,534명, 남자환자 830,133명이었으며, 10만명당 진료 환자 수도 여자환자 3,682명, 남자환자 3,229명으로 여자환자가 평균 1.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흔 교수는 최근 5년간 독감 환자 수가 여자환자가 남자환자보다 많은 원인에 대해 “국가 별, 유행 시기 별로 성별에 따른 발생률을 달리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바이러스의 특성이라기보다 여성에서 전파가 가능한 인구와의 접촉이 많은 등의 사회적인 요인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언급했다.
2019년 독감 진료환자 수는 겨울(63.5%, 1,594,520명), 봄(32.4%, 814,154명), 가을(3.6%, 89,844명), 여름(0.5%, 11,913명) 순으로 계절별 점유율은 겨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흔 교수는 독감 환자가 사계절 중 겨울철과 봄철에 가장 많은 원인에 대해 “특히 겨울철의 낮은 습도와 기온이 바이러스의 생존과 전파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주요 원인
독감은 콧물, 기침, 인후통 등의 호흡기 증상과 고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 주요 증상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로부터 비말로 전파된다.
● 진단 및 치료방법
유행 시기의 임상적 진단 혹은 인후 및 비인두 검체를 채취해 검사하고 대증적 치료, 증상 발생 48시간 이내라면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한다.
● 예방 방법
유행 전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손씻기과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해야 한다. 또힌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기 않기 등의 개인 방역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