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2030년까지 스마트항만 구축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정하나 기자입력2020-11-17 17:10:32

 

해양수산부가 지난 11월 17일(화)에 개최된 ‘제57회 국무회의’에서 전국 항만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개발계획을 담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항만정책 방향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디지털 항만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따라 항만물류 디지털화·지능화를 적극 추진하고,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해 항만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항만과 지역 간 상생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은 2030년까지 항만 자동화·디지털화를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는 2026년까지 광양항에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5,940억 원)를 구축해 국산화 기술을 개발하고 운영 경험을 쌓을 계획이다. 이후 테스트베드 검증을 거쳐 부산항 제2신항에 국산화된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2030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국형 스마트 항만을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일자리 손실을 최소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하기 위해 노조 측과의 협의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선사, 터미널 운영사 등 이용 주체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자율운항선박, 자율주행트럭 등과 연계함으로써 지능형 항만물류체계를 완성할 예정이다.


이 추진전략은 코로나19로 인한 ‘국제적 공급체계(Global Supply Chain)’ 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항만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권역별로 특화된 항만개발 전략을 마련해 추진한다. 3만 TEU급 초대형선이 접안할 수 있는 부산항 제2신항을 2022년에 착공해 동북아 물류 중심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개발되는 부산항 제2신항은 지역의 건의를 수용해 ‘진해신항’으로 명칭을 확정했다. 아울러, 그동안 부산항 북항에 산재돼 통항선박의 안전을 위협하고 미관을 해쳤던 소형선의 계류공간을 집단화하고, 영도구 청학동 배후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재해방지시설(1.3㎞)도 반영했다.


또한 세계 11위(총물동량 기준) 항만인 광양항은 배후산업과 연계해 배후부지 확충부터 산업 활성화, 물동량 창출, 항만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순환형 항로를 구축하고 배후부지 조성을 앞당겨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 복합 항만으로 육성한다.


다음으로 해양수산부는 항만과 지역 간 상생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LNG 벙커링 터미널(부산, 울산, 광양항 등), 수리조선소(부산항, 평택·당진항),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인천항) 조성 등을 추진함으로써 항만의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지역 일자리도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특성과 주민의 필요를 반영한 특화개발을 통해 노후되고 유휴화된 항만공간을 지역 경제·산업·문화 거점으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문성혁 장관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에 따라 향후 10년간 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발돋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