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9월 17일(목) 중기중앙회이사회 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정태호의원과 함께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중소기업의 생산성 수준 및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 등을 진단하고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특별법제정 등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 발표를 맡은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 노민선 단장은 “대·중소기업 간 노동생산성 격차가 OECD 평균 수준까지 완화될 경우 연평균 0.9%의 경제 성장률 상승이 기대된다”라며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노민선 단장은 “중기연구원의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88.3%, 중소기업 재직자의 84.7%도중소기업 생산성향상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라며 “평균 2.2세대에 불과한 중소기업의 생산성 혁신 활동 수준을 끌어 올릴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생산성 향상 위원회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을 검토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은 고용을 줄이지 않는 상태에서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과 생산성 향상의 성과를 근로자에게 공유하려는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김기문 회장은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특별법 제정을 통해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들이 많이 마련되길 바란다”라며 “이런 사업들을 통해 중소기업이 생산성을 높이고, 근로자와 성과를 공유해 우수 인력이 중소기업으로 유입되는 선순환구조가 조성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