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본격 추진 소상공인 성장·혁신 방안 2.0 발표 정하나 기자입력2020-09-18 15:00:10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지난 9월 17일(목) 제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긴급 피해지원과 함께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소상공인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의 지난 6차례 소상공인 대책은 상권 활성화, 전통시장 현대화사업 등 하드웨어적 기반을 마련하는 ‘소상공인 성장·혁신 1.0’이었다면, 이번 발표는 비대면·디지털화의 흐름에 대응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소상공인 성장·혁신 2.0’ 추진의 첫 걸음라는데 의미가 있다.


이번 방안은 소상공인 생업 현장의 디지털화, 소상공인 디지털 역량 제고를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 상생문화 확산을 통한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방점을 두고 있다.


특히 중기부는 전통시장, 상점, 공방 등 소상공인 생업현장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그간 대면 판매 중심으로 운영돼온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배달, 무선결제, 가상현실(VR) 지도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2025년까지 500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외식업, 카페, 미용실 등에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온라인 등을 적용해 경영·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상점을 2025년까지 10만개 보급하고, 가치삽시다 플랫폼을 활용해 소상공인의 라이브커머스 활용도 지원한다.


아울러 수작업 위주 생산공정에 자동화 기기, 데이터 수집·연계를 위한 기초단계 스마트기술(IoT 등)을 도입하는 스마트 공방을 2025년까지 1만개 보급한다. 하나의 상권에 디지털 전통시장, 스마트상점·슈퍼, 스마트공방 등 디지털 기술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디지털 상권르네상스 사업도 2022년까지 3곳을 선정한다.


이어 중기부는 디지털 교육·상생협력 확산을 통해 디지털 격차를 완화한다. 빅데이터 플랫폼·결제시스템 등 디지털 활용을 위한 지원 인프라를 확충한다.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이번에 발표한 대책들이 현장에서 원활하게 작동해 소상공인 생업현장이 더 스마트해지고, 소상공인의 디지털 격차가 해소돼 골목상인도 글로벌 소상공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라며 “소상공인이 살아야 서민경제도 살아나는 만큼, 이들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