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8월 20일(목), 전국의 522개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법정 의무교육 현황 및 애조로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체가 법정 의무교육을 이수하기 위해 2019년도 지출한 평균 연간 총 비용은 58.7만 원으로 나타났고, 이수해야 하는 교육의 종류는 평균 5.3개(오프라인 4.5개, 온라인 0.8개)로 조사됐다. 그중 교육 참가 비용이 200만 원 이상인 업체비중이 9.2%, 이수 교육 개수가 10개 이상인 업체비중이 4.4%으로 나타났다.
법정 의무교육 이수에 따른 임직원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 여부에 대해서는 ‘부담 된다’가 49.6%로 조사됐고, 특히 화학 업종의 경우 61%로 가장 높았으며. 전기·전자(57.8%), 식음료(55.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법정 의무교육 관련 애로 해소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이수 시간의 축소’가 24.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의무교육 종류의 수 축소(19.2%)’, ‘온라인 교육 시스템 구축(17.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해당 정책과 관련해 개선이 필요한 법정 의무교육으로는 ‘산업안전 보건교육’이 3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26.4%)’, ‘개인정보 보호 교육(25.7%)’ 순으로 나타났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싱성장본부장은 “현재 코로나19 및 수해재난으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법정 의무교육은 인력 운용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하며, “집체 교육, 장시간 교육 등은 업무 공백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비대면 업무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서 집체 교육의 온라인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의무교육으로 인한 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