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R&D 혁신 방향 정책 토론회 현장(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8월 13일(목)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산업 연구개발(R&D)의 체계 혁신을 위한 ‘산업 연구개발 혁신 방향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토론회에서는 ‘산업 연구개발 미래 비전 제시’를 주제로 산업통상자원 연구개발전략기획단 오동훈 투자관리자(MD)가 산업 연구개발의 정책 방향의 주요 내용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효율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제도·사업 개편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날 오동훈 MD는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연구개발 비중이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고, 정부 연구개발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등 국가 전반적으로 연구개발 투자와 관심이 높아지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과도한 행정규제 등으로 인해 연구 창의성이 제한되고 현재의 연구개발 체계가 시장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점은 여전한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문제점 극복을 위해 연구개발체계 전반에 걸친 혁신이 필요하며, 특히 ▲연구개발 도전성과 창의성 제고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 수요의 반영 ▲개방형 연구개발 확대 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오동훈 MD는 이와 관련해 “연구 자율성을 억제하는 규제 완화를 통해 기업 및 연구자들의 연구 몰입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연구개발 사업 전반에 걸쳐 도전성을 띤 연구개발을 과감히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장 수요 반영을 위해서는 공공연·대학, 기업이 각각 원하는 시장의 성격을 고려해 그에 맞는 과제를 기획·지원하고, 인공지능·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대변혁과 서비스 시장 확대 등 급격한 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디지털화, 제조·서비스 융합화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덧붙여 그는 “세계 시장의 기술 흐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속도전에 대응해 국제공동 연구개발의 전략성을 제고하고, 신흥국 시장 선점을 위해 한-아세안 연구개발 장을 신설하는 등 국제협력연구개발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표가 끝난 후에는 연구개발 수행기관의 자율성 확보, 시장중심의 산업 연구개발 추진,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따른 연구개발 방향, 개방형 연구개발 확대 등의 토론 주제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논의가 이어졌다.
한편 이번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산업부 김용래 산업혁신실장은 “디지털 전환, 코로나19 대유행 등 산업 대변혁에 따라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화, 서비스화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개발 체계가 필요하다”라며 “산업부도 그간 연구개발혁신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에게 다방면으로 의견을 들어온 만큼, 이를 토대로 제조-서비스의 융합 연구개발 촉진,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 추진 등 시장이 진정으로 원하는 연구개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