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너지공단 REMS(사진. 한국에너지공단)
산업통상자원부가 2021년 신재생에너지보급 사업 수요조사 공고안을 공지하며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1,122억 원의 규모로 지원되는 이번 사업은 동일한 장소(건축물 등)에 2종 이상 신·재생에너지원의 설비를 동시에 설치하는 ‘에너지원 융합사업’과 주택·공공·상업(산업)건물 등 지원대상이 혼재돼 있는 특정지역에 1종 이상 신·재생에너지원의 설비를 동시에 설치하는 ‘구역 복합사업’을 추구하는 사업자에 한정돼 지원이 가능하다.
정부에서는 이번 신재생에너지보급 사업을 위해 다양한 지원 모델을 운영한다. 계통 연계가 가능한 지역이라면 주택단지에 태양광·소형풍력·연료전지 등의 전기설비와 태양열·지열 등의 열설비를 함께 지원한다. 지난 2018년 삼척시의 광진마을과 죽동마을에 55개소 태양광, 태양열, 지열을 설치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업 지원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이어 계통 연계를 할 수 없는 지역의 경우, 발전원가가 높은 특정지역에 태양광, 풍력 등을 함께 설치·지원해 기존에 유지하고 있는 디젤발전기 등을 대체할 예정이다. 이는 독립형 Small Grid 형태로 수출상품 전략화를 위한 Track Record 구축과 대체 에너지원으로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활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주택, 상업·공공건물 등이 혼재된 특정지역의 경우에는 태양광·태양열·지열·소형풍력·연료전지 등의 설비를 설치·지원한다. 지난 2017년 대구 테크노폴리스 에너지자립타운의 산업단지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을 설치해 화석에너지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구역 내에 에너지 자립을 독려하는 방안이 추진된 바 있는데 정부는 이러한 방식을 채택·운영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러한 지원 모델을 운영하면서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융·복합지원으로 설치한 사업과 관련해 서로 상이한 모니터링 방식을 한구에너지공단의 REMS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원화를 추진한다. 기존의 자가 모니터링 하는 방식을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운영하는 REMS를 도입해 철저한 운영 관리를 한다는 것이다.
REMS란 2018년 처음으로 도입된 신재생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지역별, 에너지원별 가동현황과 운영현황, 에너지유형별 생산량 정보 등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정부는 지원 모델을 운영하면서도 기존에 완료된 융·복합사업의 용량을 증설하거나 설비를 보완하는 작업도 수행하며 에너지자립마을 자율인증제를 통해 자립등급을 부여받은 기초지자체에게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한 주민 반감을 줄이고 사업을 독려하기 위해 주민자치회에 참여하고 기피·혐오 시설 등에 신재생에너지설비와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하는 등 환경개선과 주민수익을 구현하는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의 50%내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이번 사업은 설비 설치비 산정에서 에너지원별 시장가격 등을 고려해 산정하고, 평가위원회 심의 등을 통해 조정·확정한다. 이번 사업은 오는 5월 29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받아 약 열흘간 공개평가과정을 거치고 두 달간 현장평가과정의 절차를 밟은 후 선정 결과를 발표, 협약을 체결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번 신재생에너지보급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과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독려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