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온라인개학 실시, 로봇·AI 활용한 교육 수요 증가할 전망 정보화 교육격차 해소하고, 교육의 질 향상시킨다! 최난 기자입력2020-04-06 11:50:30

 

교육부가 지난 3월 31일(화) ‘단계적 온라인 개학’을 발표하며 원격교육 환경 규축에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교육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통신 3사와 협력, 스마트폰으로 데이터 사용량 및 요금 걱정없이 주요 교육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지난 3월 16일(월) 5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디지털교과서, e학습터 등의 교육사이트를 접속해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후 4월 9일(목)부터는 추가로 EBS 교육 사이트를 일반학생, 학부모, 교사 누구나 데이터 사용량이나 요금 걱정 없이 스마트폰 및 태블릿으로 마음껏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단 이번 정책은 EBS 사이트에서 이용할 경우에만 적용되며 유튜브 채널, 네이버TV 등 타 사이트에서 EBS콘텐츠 이용 시에는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교육부는 IPTV(KT, SKB, LGU+)에서도 EBS 교육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원격교육 기반을 마련해 학생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IPTV 3사는 학년별 교육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방송채널을 신규로 마련해, 추가 요금 부담 없이 제공한다.

 

아울러 저소득층 자녀의 스마트기기 대여를 위해 삼성전자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함께 3만 대(갤럭시 Tab A 8.0), LG전자가 6천 대  (G패드3 8.0)의 스마트패드를 각각 후원(기증)할 계획이다.

 

그간 정부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정보화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정보화지원(컴퓨터 보급, 인터넷 통신비) 및 모바일 교육용 데이터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여전히 스마트기기, 인터넷 접속 환경 등이 갖추어지지 않은 저소득층 학생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원격 교육에 있어서는 각종 통신장비 보급이 필수적이다. 최근 로봇을 활용한 코딩, 인공지능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등의 교육 범위가 넓어지면서, 더욱 다양한 교육장비들의 보급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에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학교·교육청이 보유 중인  스마트기기 약 23만 대, 교육부의 추가 보급분 5만 대, 민간(삼성전자, LG전자)에서 후원한 3만 6천 대, 총 31만 6천 대를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대여할 계획이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