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AI 기술을 적용한 고품질 특허서비스 제공 오영준 기자입력2020-03-03 10:03:39

 

 

특허청이 지난 32()부터 인공지능(AI) 등 최신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특허넷을 개통한다고 발표했다.

 

특허청은 대민서비스의 편의성과 특허행정의 품질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작년부터 3년에 걸쳐 차세대 특허넷 개발을 추진 중이며, 작년 4월부터 추진한 1차 년도 과제들을 우선 반영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1차 년도는 차세대 특허넷의 기반을 구축하는 단계로 ①고품질 심사시스템 구축 ②전자출원 서비스 개선 및 ③전산시스템 성능 고도화를 중점적으로 추진됐다.

 

인공지능을 적용한 상표 검색시스템이 개발돼 유사한 이미지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합금발명의 조성비, 화학구조 등 검색이 어려웠던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유사한 선행문헌을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검색품질을 향상시켰다.

 

번역서비스의 경우, 구글, 카카오 등 민간의 AI 기계번역 엔진과 연동한 서비스를 제공해 심사관이 언어장벽 없이 전 세계 선행문헌을 검색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임시명세서 출원, 모바일 출원 등 출원 형식과 절차 간소화 및 편의성이 개선된다. 먼저, 올해 상반기 시행 예정인 임시명세서 출원을 통해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발명과 동시에 출원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그 이후로 기존 별도의 상용 S/W 중심으로 운영되던 시스템을 표준기술과 오픈소스 기반 S/W로 대체해, 최신 기술의 적용과 유지보수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무중단·모바일 출원 등의 대민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특허넷 서버 등 전산장비를 업그레이드 했다.

 

이러한 차세대 특허넷 서비스가 제공되면, 대국민 서비스의 편의성과 특허행정 품질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출원인에게는 24시간 365, 언제, 어디서든 출원이 가능한 환경이 제공되며, 맞춤형 정보를 활용한 효율적인 특허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특허청 역시 AI 기반 검색시스템, 기계번역시스템 등을 활용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허청 천세창 차장은 올해 개통되는 차세대 특허넷은 국민의 권리보호와 출원편의를 개선하는 동시에 고품질의 심사서비스 제공을 통한 산업기술 발전의 단초가 될 것이라며 “3년에 걸친 차세대 특허넷 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해 특허행정 혁신을 선도하고, 우리나라가 특허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