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converged Super Brain 인공지능 프레임워크 기술 오영준 기자입력2020-02-27 10:38:18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초·원전 R&D 사업에서 창출된 우수한 연구성과가 산업계에 이전돼 사업화 및 일자리 창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사업화 공공기관이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에서 작성·지원한 본 기술 소개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살펴보고, 더불어 기술이전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개요

최근 인공지능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간판 기술로 인공지능 없이는 혁신을 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인공지능 생태계는 대기업 중심으로 형성돼 있고 인력과 기술 등 모든 측면에서 중소기업이 취약한 구조에 처해있다.

 

이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KSB 인공지능 프레임워크 기술을 개발해 인공지능 서비스가 개발되기 어려운 실정에 놓인 기업에게 인공지능 서비스를 손쉽게 설계-개발-배포-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했다.

 

기술개발 현황

이 기술은 IoT, 빅데이터, 기계학습 및 도메인 지식을 융합해 데이터의 수집/적재/처리/분석 및 융합서빙을 수행하며, 다수의 엔진을 구성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기술이다.

 

특히, 학습 모델들과 지식/경험을 선택적으로 조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진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엔진들을 엮어 데이터 기반의 응용 전 주기를 지원하는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그리고 기계 학습모델을 이용, 실시간 서빙을 위한 시스템을 동적으로 구성해 실행 및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제공한다.

 

기술의 우수성(특장점)

이 기술은 지능형 판단과 예측 결과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메인에 필요한 지능 서비스 응용 시스템을 빠르게 프로토타입으로 구축해 현장에 최적화하고 동시에 이를 적용할 다양한 실시간 지능형 제어 서비스를 손쉽게 설계-개발-배포-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워크 확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모듈을 만들어 추가할 수 있으며,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듈을 컴포넌트 형태로 개발하고 등록이 가능하다.

 

기술 적용(활용) 가능 분야

AI를 활용한 전자제품, 스마트시티/팩토리 그리고 스마트 물류회사 분야로 적용이 가능하다.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적용분야

AI 전자제품

스마트 시티/팩토리

스마트 물류회사

적용제품

맞춤형 AI 서비스 개발

 

관련 지식재산권 현황

구분

발명의 명칭

특허 출원(등록)번호

국내특허

사물들의 집단 기계학습 장치 및 방법

10-2018-0039204

국내특허

기계학습 지식 및 자동화된 기계 학습 절차 기반의

자가 학습 시스템

10-2018-0080097

국내특허

지식 증강을 위한 선순환 자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10-2018-0059335

국내특허

워크플로우 엔진 프레임워크

10-2018-0047370

국내특허

자가 학습을 위한 데이터 메타 스케일링 장치 및 방법

10-2018-0080111

국내특허

결정적 및 비결정적 지식 처리의 융합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10-2016-0156396

국내특허

정보 보호 장치를 이용한 정보 문서 분산 저장 방법

10-2016-0034782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