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진료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비알코올성 지방간(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 인원이 5년간 연평균 증가율 21%로 늘어났으며 남성 환자가 2017년 기준 30,551명으로 여성 환자 20,705명 보다 47.6%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 가입자 중 최근 5년 사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24,379명에서 2017년 51,256명으로 연평균 증가율 21%를 기록했다.
남성 환자의 진료인원은 2013년 14,278명에서 2017년 30,551명으로 16,273명 늘어나, 여성 환자가 2013년 10,101명에서 2017년 20,705명으로 10,604명이 늘어난 것에 비해 진료인원 증가폭이 컸고, 연평균 증가율 또한 21.6%로 여성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 20.2% 보다 다소 높았다.
2017년 기준 성별 인원을 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인원은 전체 51,000여 명 중 30,600여 명(59.6%)이 남성 환자이며, 이는 여성 환자 20,700여 명(40.4%) 대비 약 1.5배에 근접하는 수치로 나타났다.
●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원인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의 섭취나 지방간을 초래할 만한 다른 간질환이 없으면서 영상의학 검사나 간 조직검사에서 간 내에서 지방 침착이 확인되는 질병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남녀 모두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등이 주요 위험 인자이며, 여성의 경우 고령, 폐경 등도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증상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특정할 수 있는 증상이 없다. 다만 일부 환자의 경우 우측 상복부 불편, 피곤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복부 진찰에서 간비대로 인해 간이 만져질 수 있다.
●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방법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을 위해서는 지방간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 제2형 당뇨병 등이 위험 요인이므로 이를 관여해야 한다. 또한 운동, 식생활 개선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식생활 개선 방법은 과식을 피하고 영양소가 골고루 포함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된다. 기름에 튀긴 음식보다 삶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당분이 들어간 음료수는 피하며 사탕, 초콜릿, 라면이나 케이크도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 당뇨,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