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조숙증 환자 진료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성조숙증 질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5년간 2013년 대비, 42.3%(연평균 9.2%) 증가했다. 남아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12.8%로 여아환자(연평균 8.9%)보다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성조숙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67,021명에서 2017년 95,401명으로 연평균 9.2%(28,380명) 증가했다.
성별 진료실 인원은 남아는 2013년 5,935명에서 2017년 9,595명으로 연평균 12.8%(3,660명) 증가했고, 여아는 2013년 61,086명에서 2017년 85,806명으로 연평균 8.9%(24,720명)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남아환자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성별 인원을 살펴보면, ‘성조숙증’ 질환 진료인원은 전체 9만 5천 명 중 약 8만 5천 명(89.9%)이 여아 환자이며, 이는 남아 환자 9천 5백 명 대비 8.9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조숙증의 원인
대부분 기질적 원인 없이 기능적 문제로 나타나는 진성 성조숙증이며 원인으로는 환경의 변화, 비만, 가족력 등이 있다.
● 성조숙증의 진단·검사
기본적 혈액 검사로 성호르몬 및 갑상선 호르몬 검사 등을 포함해 진행하고, 신체 나이 측정을 위해 골연령 X-ray 사진을 촬영한다. 성조숙증이 의심이 되는 경우 혈액 검사로 성선자극호르몬 검사를 실시하며 추후에는 머리 MRI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 성조숙증의 치료방법
기질적 원인이 발견된 경우 원인에 따라 치료하며 기질적 원인이 없는 중추성 성조숙증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조숙 치료제(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작용제)를 4주 혹은 12주 간격으로 투여해 치료한다(현재 주사제만 있다).
치료를 진행하면서 아이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관찰하며 6개월에 1회 혈액 검사 및 성장판 검사를 실시해 상태를 관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