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불량 진료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화불량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2년 68만 명에서 2016년 60만 명으로 감소했다가 2017년 61만 6천 명으로 증가했다.
2017년 기준, 총 진료 인원은 남성 24만 6천 명, 여성 37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세분화해 분석한 결과, 여성은 인구 10만 명당 1,458명,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 963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해도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았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60대(9만 7천 명, 15.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70대 이상(9만 명, 14.6%), 50대(8만 1천 명, 13.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3만 6천 명, 14.6%)이 가장 높았고, 60대(3만 6천 명, 14.5%), 50대(3만 1천 명, 12.6%) 순이며, 여성은 60대(6만 1천 명, 16.6%)가 가장 많았고, 70대 이상(5만 4천명, 14.6%), 50대(5만 명, 13.5%) 순으로 나타났다.
● 소화불량의 원인
일반적인 검사로 다른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아직은 명확한 질환의 병태생리를 모르는 비균질성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로는 위 저부의 적응장애, 위 내장 감각의 비정상적인 예민성, 정신 사회적 요소, 산분비과다, 십이지장의 기능 이상 등 다양한 원인들이 유력한 발생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는 불안, 우울, 건강염려증 등의 정신 심리적인 장애가 높으나 아직 원인인지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정신적인 장애나 심리적 장애,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위장관 증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소화불량의 증상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주로 상복부 중앙부위에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감이 주된 증상이다. 쓰림, 팽만감, 조기 포만감, 식후 만복감, 구역, 식욕부진, 역류, 트림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 소화불량 예방 방법
소화불량증 환자들의 대부분은 증상이 음식과 관련이 있다고 호소하며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나빠진다고 한다.
고지방음식은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리므로 소화불량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는 피해야 한다. 또한, 카페인 음료나 알코올,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에 대한 제한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도 있으며 식이섬유는 위 내용물의 배출을 느리게 하므로 소화력이 떨어져 있는 환자는 제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