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목증후군 진료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일자목증후군’으로 진료받은 전체인원은 2011년 239만 7천 명에서 2016년 269만 6천 명으로 늘어 연평균 2.4%가 증가했다.
2016년 기준, 총 진료인원은 남성 116만 3천 명, 여성 153만 3천 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은 인구 10만 명당 6,069명,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 4,559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해도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50대(64만 3천 명, 23.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6만 5천 명, 21.0%), 30대(41만 2천 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50대(24만 8천 명, 21.4%)가 가장 많았고, 40대(23만 9천 명, 20.6%), 30대(20만 2천 명, 17.4%) 순이며, 여성은 50대(39만 4천 명, 25.7%)가 가장 많았고, 40대(32만 5천 명, 21.2%), 60대(23만 5천 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 일자목증후군의 증상
사람은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간을 앉거나 선 자세로 지내기 때문에 목척추의 입장에서는 항상 머리를 떠받들어야 한다.
목척추가 앞서 말한 정상적인 배열을 가질 때 머리의 무게가 목뼈와 디스크 쪽으로 분배되는데, 일자목에서는 이러한 분배가 무너지면서 근육, 인대, 관절 등의 부위에 정상보다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통증에 매우 민감한 구조물로 이러한 상황이 만성화 될 경우 목 부위 뿐 아니라 두통이나, 어깨 부위의 통증까지 유발될 수 있다.
● 일자목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일자목증후군은 목척추의 변형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단순히 목부위만의 문제만을 넘어 등뼈의 과도한 후만과 둥근 어깨 자세와 밀접히 연관돼 있다.
통증이 갑자기 악화되었을 때에는 무리한 작업이나 일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이때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에 주사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통증이 없는 상태를 가능한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상 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칭을 비롯한 운동을 습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일자목증후군의 예방법
일자목증후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척추의 정상 만곡을 유지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등뼈의 과도한 후만과 둥근 어깨 자세의 교정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깨를 편 자세를 함께 유지해야 한다.
바른 자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스트레칭 운동이다. 일자목증후군에서는 대개 목 뒤쪽 근육이 짧아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스트레칭하기 위해서는 손을 머리 위쪽 방향으로 올려 후두부에 오게 한 다음 고개를 아래로 당기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해준다.
또한 둥근 어깨 자세로 인해 흉근이 짧아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양쪽 어깨를 벌려 흉곽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해준다. 스트레칭은 한 번에 10~15초 정도 충분히 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