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닥의 인지도 및 보급률 향상 위한 Live Surgery는 계속된다”
“로보닥의 인지도 및 보급률 향상 위한 Live Surgery는 계속된다”
한은주 기자입력2011-01-28 00:00:00
“로보닥의 인지도 및 보급률 향상 위한
Live Surgery는 계속된다”
|
인터뷰 이창훈 박사
인물
|
Live Surgery를 통해 어떤 점을 기대하나.
특히, 의사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업그레이드된 기술을 공개해 기존 유저들에게는 개선된 로보닥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장에서의 로보닥에 대한 수요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로봇이 뼈를 깎아낸 후 뒤처리를 위해 사람손이 많이 가는 편이라 생각되는데. 향후 이 부분도 자동화가 가능한가.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 프로젝트 외에도 꾸준한 R&D 활동을 통해 수술로봇 테크닉은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많은 부분에서 자동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성능이 좋아짐으로써 가격도 높아졌나.
생각보다 시장 확대가 느린 듯한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로보닥의 업그레이드를 강조했는데, 스마트 프로젝트를 통해 실현한 국산화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또한 Surgery Tool의 경우, ROBODOC Surgery에 필요한 모든 것에 대한 플로토 타입을 제작하였으며, 현재 스마트 프로젝트의 수술기법 개발 연구 시에 요구되는 추가 Tool들을 고안/제작하여 Cadaver Test시 적용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NT 리서치 등과 진행하는 스마트 프로젝트의 성과는 어떤지.
Robodoc을 이용한 MIS TKA / UKA 수술기법 연구는 각각 10번의 Cadaver Test 중 UKA의 2번만 남겨놓은 상황으로, 두 수술기법에 대한 연구가 완료되면 이와 관련해 Implant Library 전체를 자체 개발할 예정이다.
향후 이 같은 Live Surgery는 계속 진행할 생각인가.
다양한 수술기법, 최신지견을 교환하는 라이브 써저리는 성대한 학문 경연의 장이다. 물론 로보닥 홍보의 장으로써의 의미도 크다. 전남대병원 같은 선구적인 로보닥 유저 사이트의 활발한 활동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이에 따라 로보닥의 인지도 및 보급률 상승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로보닥 라이브 써저리 뿐 아니라 로보닥 유저들의 기술개발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자문위원회 등 다양한 학문의 장을 마련하고 유저들과의 끊임없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늘 발전하는 로보닥을 선보일 계획이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