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휴보’ 캐릭터 상품으로 만난다
(주)엠피위즈 www.dhnet.kr
KAIST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Hubo)’를 활용한 캐릭터 사업이 (주)엠피위즈(대표 김성우)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이들은 KAIST와 최근 휴보 상표권 사용에 대한 전용실시권 이전 계약을 체결했고, KAIST로부터 10년간 상표와 초상권 전용사용권을 갖게 된다.
엠피위즈는 “애니메이션, CF광고를 비롯해 문구, 팬시, 의류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콘셉트의 캐릭터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학습교재와 교구 개발을 추진해 유아와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 사업에 활용할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카이스트와 직간접으로 교류하고 있는 대기업을 비롯해 휴보의 캐릭터와 이미지에 부합하는 기업체와 상품의 CF전속 모델로 활용하기 위한 접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엠피위즈는 이 같은 휴보 캐릭터 사업을 전담할 자회사로 (주)휴보 설립을 진행중이며, 애니메이션 제작도 착수에 들어간 상태다.
기업 관계자는 휴보를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과학문화 캐릭터로 키워낼 계획이라며 휴보의 다양한 캐릭터 사업을 통해 국익과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는데 노력하겠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 혼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인 ‘아시모’의 경우 인형과, 완구, 액세서리 등 다양한 분야로 상품화 되고 있지만 휴보의 캐릭터 사업 추진은 이번이 처음이다.
ABB와 삼성피앤에이 ‘철강 포장로봇’ 수출 길 열었다
(주)ABB 코리아 www.abb.co.kr
(주)ABB 코리아와 (주)삼정피앤에이가 지난 3월 6일 ‘철강 포장로봇’ 수출과 관련한 업무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철강 포장로봇은 제품포장 작업시 기존 3식 1세트 결속기로 분산된 공정으로 인해 22m 정도가 소요되던 설치공간을 로봇 1대(7m 공간)로 처리함으로써 창고 효율을 극대화하고 설비 국산화 및 공사비 감소 등 투자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제품이다.
전력, 전기, 자동화 등의 사업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세계적인 3대 기업 중 하나인 ABB사는 해당 ‘철강 포장로봇(로봇 결속기)’을 글로벌 마케팅 품목으로 선정해 자사 전략품목으로서 로봇과 로봇결속기의 해외 판매에 협력하기로 했다.
ABB는 세계적인 로봇기업으로 특히 설계부터 제작, 영업에 이르는 독자적 통합관리 체제가 구축돼 있어 흔히 해외에서 발생될 수 있는 A/S에 관한 보장이 현지의 서비스 요원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주)삼정피앤에이는 글로벌 시장 공략의 첨병으로서 ABB사의 해외 45개국100여 개에 이르는 영업점과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ABB는 포스코 그룹사의 상품에 자사 로봇 채택을 보장 받음으로써 로봇시장 개척에 큰 기대를 걸 수 있게 됐다.
3차원 얼굴 인식 「VG3D」 출시…
무인로봇 등 군·민수에 진출
퍼스텍(주) www.firsteccom.co.kr
초정밀분야 방산전문 기업 퍼스텍(주)(대표 전용우)이 3차원 얼굴 인식 시스템인 ‘VG3D’를 출시했다.
VG는 ‘Vision Gate’에서 따온 말로 동사는 이 제품을 바탕으로 보안분야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도입한 얼굴인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출입통제, 근태관리, 은행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상품을 국내시장에 내놓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여권 사업을 성공적으로 구축,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유럽의 전자여권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차후에는 보급형 출입통제 시스템을 개발과 얼굴인식 시스템을 활용한 무인 로봇 사업에도 진출할 예정이라 로봇업계의 관심도 한 몸에 받고 있다.
퍼스텍(주)은 군수에 적용된 최첨단 기술을 민수에 적극 활용해 고부가가치 창출 및 국가 경쟁력을 다지겠다고 전했다.
퍼스텍(주)이 발표한 ‘영상보정을 통한 얼굴인식 방법’에 대한 기술은 이미 지난해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얼굴 부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얼굴 부분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하여 얼굴의 특징부와의 대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얼굴인식 방법으로서 범죄현장을 보다 상세하게 기록한 동영상이나 정지화상으로부터 용의자의 얼굴을 추출하고 추출된 용의자의 얼굴을 가공, 이를 범죄자의 얼굴정보가 저장된 범죄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범죄자 얼굴과 비교하여 용의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얼굴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